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420.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대학글쓰기 수업의 사례

선문대학교의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8

이 논문은 대학글쓰기의 수업 운영 사례의 하나로,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를 다루고자 한다. 대학박물관은 대학 내에 위치하여 학생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교육문화의 공간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대학에서는 이를 대학교육에 접목하거나 활용한 경우가 거의 없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이에 주목하여 대학글쓰기 교육과 연계해 보았다.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중등교육과정에서 수행평가 등을 통하여 국공립 박물관을 견학·관람하고 이에 대한 글쓰기를 체험한 바 있다. 현재 대학에 입학한 대학생들의 글쓰기 수업에서도 이를 연계하여 글쓰기 교육의 방안을 모색한다면 학생들의 과목에 대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고 자연스럽게 글쓰기에 대한 관심과 전반적인 원리를 터득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대학생이 된 학생들은 전시된 소장품 감상이나 설명에만 머무는 수동적인 상황이 아니라 스스로 관심의 대상을 선정하고 이를 글쓰기로 풀어나갈 다양한 아이디어와 방법을 갖고 있기 때문에 능동적이고 창의적인 글쓰기가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이 글에서는 선문대학교 대학글쓰기 수업 과정에서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글쓰기를 시행해 보았다. 선문대학교에 입학한 신입생들의 경우 대부분 글쓰기 과목에 대한 부담감과 글쓰기의 중요성 및 개념 파악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들이 많았다. 이들에게 단기간 내에 과목에 대한 관심과 차후 방향을 제시한다는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절차를 밟았다. 먼저 과목 수강 학생들에게 글쓰기의 전반적인 절차를 수업을 통하여 제시했다. 이후 학생들에게는 이 내용의 피드백(Feed-Back) 측면에서 과제로 박물관을 관람하게 한 후에 스스로 글쓰기의 대상을 선정하게 하였고, 어떤 방식으로 글로 쓸 것인지 아이디어 제안서(개요)를 작성하는 과정, 그리고 이에 기반을 두어 짧은 글로 작성하는 일련의 절차를 밟아 보았다. 이를 실제 수업에서 시행한 결과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글쓰기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었고, 스스로 문화의 재발견, 탐구 능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주목할 점은 이 과정을 통하여 글쓰기 과목에 대한 부담을 덜어낼 수 있었고 글쓰기의 전반적인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90여개 대학에서 대학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 이 글에서 제시한 방법을 통하여 차후 다양한 글쓰기 방안이 계발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al with writing using university museum as an example of college writing management. University museum is located in university and serves as cultural and educational space where college students can have easy access. However, up to now, it’s very hard to find the case of using this facility for educational purpose in college writing. Korean college students have experiences in visiting national public museums dur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writing various types of writing for this. If systematic writing program can be developed or connected in college writing, students can feel less pressure about writing class, be naturally interested in writing, and learn more general principles. Because students can choose subjects and have various ideas to elaborate in writing, active and creative can be possible. In this research, this kind of view is noticed, and the case of using museum for writing in college writing class at Sunmoon University is suggested. Through the suggested methods in this research, I hope that this research can help students’ interests and ability in writing to improve.

Ⅰ. 서론

Ⅱ.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대학글쓰기 수업 운영과 사례

Ⅲ. 대학박물관을 활용한 대학글쓰기의 가능성과 대안

Ⅳ. 마무리와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