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적 추구 성향에 따른 넛지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한 어촌환경개선 공공디자인제안 연구
Using Nudge communication according to human pursuit propensity Research on public design proposals to improve the fishing environment: Focusing on Pyeongtaek Kwon Gwan Village
-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 한국디자인리서치
- Vol5, No. 1(통권 14권)
- 2020.03
- 100 - 110 (11 pages)
급속한 도심의 발전 이면엔 각종 쓰레기 대란으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는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시각을 돌려 도심과 떨어진 어촌도 해양쓰레기로 인한 환경문제 또한 그 궤를 같이한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해양 환경오염 개선을 위해 사람들의 자발적 참여유도를 할 수 있도록 ‘넛지’의 개념을 바탕으로 지역에 공공디자인을 제안하고 환경에 대한 인식개선을 유도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범위는 2019년 ‘바다가꿈’의 민간재능 프로젝트로 기관이 선정한 어촌지역 중에서 평택 권관마을 어촌계 사무실과 그 주변이 대상이다. 분석방법은 강준만의 넛지 커뮤니케이션 7가지 유형 이론 개념과 공공디자인으로 활용된 사례를 고찰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평택 권관마을에서 진행된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를 입체적으로 살핀다. 결론적으로 ‘넛지’를 도입한 프로젝트의 경우 아이디어 실행과 현실상황의 간격을 줄이기 위해선 장기적인 검토와 이해 관계자간의 충분한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eyond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ity center, the social problems arising from the various garbage turmoil are not yesterday. It was noted that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marine garbage in the fishing villages away from the city center were also chan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ublic design to the region and induce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based on the concept of Nudge so that people can voluntarily participate to improve marine environmental pollution. The scope of the study is the private fishing project of BADAGAGGUM in 2019, and among the fishing areas selected by the institution, the offices of the fishing villages around Kwon-gwan Village in Pyeongtaek and its surroundings are covered. The analysis method examines Kang Jun-man s seven types of concept of Nudge communication theory and examples used in public design, and based on this, examines the public design project conducted in Kwon-gwan Village in Pyeongtaek in three dimensions. In conclusion,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a project that introduced “Nudge,” long-term review and sufficient cooperation between stakeholders are needed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 execution of ideas and the reality.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넛지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공공디자인제안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