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616.jpg
KCI등재 학술저널

전통 미디어 아트를 활용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방향성 연구

Brand identity design using traditional media art Directional research

DOI : 10.46248/kidrs.2020.1.136
  • 190

미디어 환경의 변화는 우리의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과거의 아날로그였던 많은 제품과 서비스 또한 환경의 변화에 맞춰 디지털화 되고 있으며, 과거의 것들이 현대의 미로 재구성되어 우리에게 새로운 모습으로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 전통 문화 활성화 방안으로써 현대 미디어아트와 결합된 전통문화 사례를 찾아보고 이를 브랜드아이덴티티(B.I) 요인을 통해 분석함으로서 그 활용가치와 방안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미디어와 결합된 전통 문화 현황을 살펴보고 브랜드아이덴티티 특성을 통해 B.I표현요인 4가지인 고유성, 유연성, 심미성, 상호작용성 요인과 그 평가항목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로 사례를 통해 각 사례의 전달방식과 B.I표현 요인을 분석하여 연구 결과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각 전달 매체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연구 결과를 통해 국내의 전통 미디어 아트 사례에서 상호작용성이 매우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디어의 변화가 빠르게 진행됨에 따라 소비자의 미디어 수용행태도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변화하는 사용자의 흐름에 맞춰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상호 소통할 수 있는 전통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have led to many changes in our daily lives. Many products and services that were analogues of the past are also being digitize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the things of the past are being reconstructed into modern beauty and given us a new l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ase of traditional culture combined with contemporary media art as a way to revitalize Korean traditional culture and to analyze its use values and methods by analyzing them through brand identity (B.I) factors. First of all,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the current status of traditional culture combined with media was examined, and the four factors of B.I expression, uniqueness, flexibility, aesthetics, and interactivity, and the evaluation items were derived from the brand identity characteristics. Secondly, I tried to analyze the delivery method and B.I expression factors of each case through the case and apply it to the study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delivery medium. In particular, throug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interactivity was very insufficient in the case of traditional media art in Korea. As the media changes rapidly, the consumer s behavior of media is changing rapidly. Research on traditional media contents that us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and interact with in response to changing user flows should be continued.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전통 미디어아트의 브랜드 아이덴티티 분석

4.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