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415.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A New Direction of Undergraduate General Education: Through a Case Study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 197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의 새로운 방향으로서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제안하고, 한국의 대학에서 실제로 운영되고 있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사례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시사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역량기반 교양교육으로의 전환의 필요성으로는 첫째, 역량기반 교양교육은 자유교육과 직업교육의 대립을 극복하고 인문 교양적 자유교육과 사회 현장에서 요구하는 직업교육을 통합하며, 둘째, 지식중심의 교육에 대한 비판과 함께 지식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새로운 교육방법을 제안하며, 셋째, 현재의 학교 교육과정이 갖고 있는 모순과 한계를 극복하고 전공교육과 교양교육의 연결점을 찾아 지식과 학문을 통합적이고 총체적으로 접근한다는 점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가 교양교육의 새로운 접근으로서 제안하고 있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실제로 운영하고 있는 S여대는 교양교육원 내에‘ 역량개발센터’라는 전담기구를 두어 기초역량과 핵심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두 가지 교양필수과목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역량을 진단 및 평가하는 역량측정도구인 SM- C L A 를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학생들의 역량 수준과 향상정도를 평가 및 파악하고 있으며, 인지적 역량과 사회적 역량의 심화과정으로서 역량향상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부족한 역량 및 향상시키고자 하는 역량의 강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S여대의 역량개발 프로그램을 통한 역량의 향상 정도에 대한 분석과 인지역량 심화과정의 효과에 대한 분석을 통계적인 자료와 함께 제시하였다. 이러한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실제적인 운영을 통해 살펴본 역량기반 교육의 방향이자 과제로서 첫째,교양교육의 내재적 가치와 목적을 바탕으로 운영되어야 한다는 점, 둘째, 기존의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관계를 상호보완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는 점, 셋째, 학생들의 역량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참여와 역량개발 의지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방법에 대한 연구와 교수자의 역량개발을 위해 힘써야 한다는 점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proposes competence-based education as a new direction of general education, investigates S Women’s University’s case, and presents significance and tasks of the change to competence-based general education. It asserts the necessity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as follows: first, competence-based education overcomes the conflict between liberal education and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the two needs; second, it proposes a new approach to knowledge and new teaching methods, criticizing the traditional curriculum focused on knowledge; and third, it links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specialized education by solving the limits of the existing school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s the competence-based education program of S Women’s University as a case. The university has two types of required general education program, ‘Competence Development Course I ’ and ‘Competence Development Course II ’, through which students can develop basic and key competencies. It also evaluates students’ competencies with SM-CLA(SM-Collegiate Learning Assessment), and offers upgrade courses for improvement of cognitive and social competencies. The paper shows the result of SM-CLA and the effect of upgrade courses. On the basis of the case study, it suggests that competence-based education should be based upon intrinsic value of general education, be connected with the existing academic curriculum, and make continuous efforts for developing teaching methods and instructors’ competencies.

I. 머리말

II. 선행연구 분석

III. 역량기반 교양교육으로의 전환의 필요성

IV.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사례: S여대 역량개발 프로그램

V.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