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oetry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 61
151412.jpg

이 논문은 현대시에 나타난 ‘죽음’의 상징적 의미에 대하여 주제학적으로 접근하는 교양교육법의 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전공 현대시 교육과는 달리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은 시에 대한 전문적인 감상과 해석 및 평가보다는 자신의 감상을 진솔하고 적절하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① 자유롭고 개성적인 시어 풀이 → ② 주관적인 감상문 작성 → ③ 다른 현대시 감상 후 주관적인 단평 작성 → ④ 작품의 주제와 관련되는 학술 서적 소개 → ⑤ 객관적이고 학술적인 평론 작성 → ⑥ 최종적인 학습 콘텐츠 개발 및 발표의 단계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교양교육의 방식에서 교육자는 ‘조력자’ 혹은 ‘촉진자’로 번역되는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퍼실리테이터란 여러 사람이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함께 일을 할 때 효과적으로 그 목적을 달성하도록 일의 과정을 설계하고 참여를 유도하여 질 높은 결과물 만들어내도록 도움을 주는 사람을 말한다. 대학에서 전문 분야인 전공 학문의 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전문 지식의 습득 그 자체가 아니라 그것을 보다 정확하고 충실하게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자발적으로 신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을 수행할 때에도 주어진 문학 텍스트의 심층적인 의미를 분석하고 그 가치를 찾아내는 고유의 과정도 중요하지만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 상호간의 다양한 견해를 공유하고 표현하여 이를 이해시키는 실천적인 작업이 동시에 요구된다.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n the Korean modern poetry(for example poems of Lee Moon-Jae, Ki Hyung-Do, Chung Ho-Seung) by using the thematic theory. I will describe how the poetic subjects of their poems are illustrated depend on using ‘death’ motif. By clarifying the mode of theme and motif, I will look into the poetry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Though the symbolic meanings of ‘death’ have been changing according to ages or places, in his poems ‘death’ is the symbol of the last destination which poetic subjects realize the limit of being. The ‘death’ motif as a main topic in this thesis is the key concept to understand their poems which were presented in various styles. In order to teach literature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a teacher must instruct students in the ways of the world as a facilitator. A facilitator is someone who helps a group of people understand their common objectives and assists them to plan to achieve them without taking a particular position in the discussion to collaborate and achieve synergy. A successful facilitator embodies respect for others and a watchful awareness of the many layers of reality in a human group.

Ⅰ. 서론 : 교양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Ⅱ. 본론 : 교양으로서 현대시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Ⅲ. 결론 : 교양과정에서 교육자의 역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