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637.jpg
KCI등재 학술저널

미디어 및 프로그램 장르별 이용량, 양가적 성차별주의 태도,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Usage by Media and Programme Types, Attitudes of Ambivalent Sexism, and Subjective Well-Being

  • 417

이 연구의 목표는 적대적 성차별주의에 비해 간과되기 쉬운 양가적 성차별주의 태도에 미디어 및 프로그램 장르 이용량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그 성차별주의 태도는 주관적 안녕감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에 대해 성별 효과를 고려하여 살펴보는 것이다. 서울 20대 성인 남녀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의 데이터를 분석(N = 330) 했을 때, 양가적 성차별주의 태도의 하위요소(온정적 성차별주의, 경쟁적 성분화, 적대적 이성애)에 대한 미디어 이용량 효과는 미디어 종류에 따라 달리 제시됐다. 프로그램 장르별 효과를 알아본 결과, 서바이벌 예능・일반 음악 쇼・일반 코미디 장르를 이용할수록 온정적 성차별주의가 강하게 나타났다. 단 동일 미디어 및 장르일지라도 배양효과에 성별 차이가 있었다.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양가적 성차별주의의 성별 영향력 측면에서는, 온정적 성차별 주의의 효과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성차별주의 유지의 심리적 기제 파악에 도움이 되는 연구 결과들의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논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usage by media and programme types on discrimination attitudes as ambivalent sexism which is more likely to be overlooked than hostile sexism, and how the attitudes affect individuals subjective well-being by considering gender effec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male and female adults aged 20 to 29 (N = 330) in Seoul. Th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effect of media usage on these factors(benevolent sexism, competitive differentiation, hostile heterosexuality) varied according to media type. As a result of studying the effects of usage of programme by genres, the more the amount of usage of reality TV competition or music performances or comedy programme was, the stronger ambivalent sexism attitudes was strongly suggested. However,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cultivation effects even in the same media and programme by genres.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the gender influence of ambivalent sexism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individuals, only the positive effect of benevolent sexism was found to be significant.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at help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maintaining sexism.

Ⅰ. 문제 제기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