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0336.jpg
KCI등재 학술저널

적극행정과 공공가치 (public values)의 실현

조직문화와 리더십이론을 중심으로

  • 468

본 연구는 적극행정의 속성 중 하나로 창의성(creativity)을 전제하면서, 애매하고 불확실성이 높은 공공행정의 상황적 맥락에서 능동적이고 유기적으로 대응하는 창의적인 행정을 ‘적극 행정’으로 개념정의하였다. 이러한 적극행정이 펼쳐지는 경우, M. Moore나 B. Bozeman 등 공공가치론자들이 강조하는, 시민이 원하는 질 높은 공공서비스의 제공, 즉 공공가치(public values)의 창출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공공행정 조직구성원이 공유하는 가치, 신념,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의 총체인 조직문화(organizational culture)의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역설하였다. 이 같은 조직문화를 중·장기적으로 변환시키기 위해서는 공공조직 관리자나 리더의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논지를 유지하였다. 본 연구는 리더십 이론 중 특히, 조직구성원의 고급성장욕구나 자아실현요구를 강조하며 McGregor의 Y이론적 시각을 중시하는,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 서번트 리더십(servant leadership), 그리고 적응적 리더십(adaptive leadership)을 중심으로 조직문화와의 상호연계성을 논리적으로 기술하였다. 이 같은 설명틀을 중심으로 리더십이 독립변수로서 조직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공공조직구성원의 창의적이고 유기적인 대응능력의 결과물(outcomes)인 ‘적극 행정’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것이라고 보았다. 위와 같은 구성개념간 선순환 연계과정을 통해 적극 행정은 종국에는 시민이 원하는 질 높은 공공서비스의 제공을 통해, 공공가치론자(public values theorists)가 방점을 두는 공공가치(public values)의 창출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Ⅰ. 문제의 제기: 왜 적극 행정인가

Ⅱ. 이론적 배경: 적극행정과 공공가치의 구성개념

Ⅲ. 적극행정, 조직문화, 리더십 구성개념간 관계

Ⅳ. 결론: 적극행정을 통한 공공가치의 실현을 위하여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