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KCI등재
학술저널
초록
본 연구는 조직행태이론 분야에서 제시하는 조직 내 개인의 수동적 자세, 개인에 대한 보상과 동료의 소극성 및 저성과자와 관련한 논의, 책임성에서 비롯되는 변화에 대한 두려움과 저항 등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들이 시사하는 바를 통해 적극행정의 관리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적극행정을 확산하기 위한 제도적 접근은 공직자 개인만의 적극성을 향상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는데, 기관과 집단에 대한 추가적인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공직자를 비롯한 개인이 현상유지를 선호(Status-quo Bias)하는 경향은 심리학적으로 새로운 것을 추진하면서 겪는 인지적·감정적 부담과 현상 유지를 통해 겪는 부담의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책임성에 대한 두려움을 갖는 공직자들을 위해 보호장치(예: 소송제도 지원제도, 사전컨설팅제도)가 충분한 기능과 역할을 한다는 신뢰감을 공직사회에 확산시켜야 한다.
목차
Ⅰ. 서 론
Ⅱ. 적극행정을 위한 집단과 조직맥락에 대한 이해
Ⅲ. 현상유지 경향과 적극행정에 대한 보상
Ⅳ. 개인의 책임성과 심리적 두려움
Ⅴ. 적극행정을 위한 관리적 및 학술적 시사점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16)
- 직무자율성과 목표명확성이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공무원의 직무자율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효과
- 개인-직무 및 개인-조직 적합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적극행정 촉진을 위한 인사제도 발전방안
- 환경변화에 대응한 공무원 보수체계의 개편대안
- 공직가치 제고를 위한 행동주의적 분석연구
- 임파워링 리더십이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과학기술인력의 사회참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 변혁적 리더십이 공공봉사동기를 매개로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 지방자치단체 국고보조사업 전담 공무직의 임금체계 개편 필요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적극행정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접근
- 조직행태이론이 적극행정에 주는 시사점
- 적극행정의 개념적 다양성에 기반한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적극행정과 공공가치 (public values)의 실현
- 적극행정의 개념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