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도시근린공원 방범설계 (CPTED)의 효과성 검증

An Examin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CPTED at the Urban Community Park

  • 366
커버이미지 없음

이 연구는 도시근린공원에서의 범죄예방환경설계 효과성 검증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활용된 범죄예방환경설계 평가항목을 활용하여 대상 공원 두 곳의 범죄예방환경설계 수준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였고, 설계 수준이 우수한 공원과 낮은 공원 방문객들을 대상으로 각각 범죄피해두려움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설계 수준이 우수한 공원보다 설계 수준이 낮은 공원에서 방문객들의 범죄피해두려움이 더 높게 나타남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두 공원에서 느끼는 범죄피해두려움의 평균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도시근린공원에서의 범죄예방환경설계는 이용객들의 범죄피해 두려움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범죄피해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을 통제하지 못하였다는 점, 조사대상 공원의 범죄예방환경설계 수준에 대한 평가의 정교성이 다소 낮다는 점 등의 한계가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PTED 인식’과 범죄피해두려움의 관계를 주로 검토하여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한 기존 선행연구와는 달리 객관적 평가척도를 활용하여 설계수준 차이에 따른 범죄피해 두려움의 차이를 검증함으로써 CPTED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연구라 하겠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in urban neighborhood park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research, the crime prevention environmental design evaluation items used in the previous studies were objectively evaluated, and the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levels of two target parks were objectively evaluated. Fear of crime was measured. As a result, visitors were found to have higher fears of crime victimization in parks with lower design level than those with better design level, and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crime fears felt between two park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design of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in urban neighborhood parks can be said to reduce the fear of crime victims.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such as the lack of control of other factors affecting the fear of crime, and the low level of elaboration of the assessment of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design of the park under investigation. Nevertheles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mainl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PTED awareness and fear of crime, CPTED by verifying the difference of crime damage fear according to the design level by using objective evaluation scale. It is a meaningful study in that it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