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640.jpg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성경적 상황화를 위한 ‘Missio Dei’의 재고(再考)

Reevaluation of ‘Missio Dei’ for Contextualization in the Bible

  • 121

본 논문의 목적은 성경적 상황화를 위해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를 재고하는 데 있다. 오늘날 상황화는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컬 두 진영에 의해 다른 의미로 이해된다. 이런 상황화의 개념적 차이는 그들이 Missio Dei에 대한 다른 관점에서 비롯된다. 먼저 로잔대회는 복음을 타문화권에 의미의 변형이나 왜곡 없이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과정으로서 상황화를 이해한다. 반면 WCC의 상황화는 신학과 윤리를 포함해 선교의 모든 영역들을 상황 속에서 복음을 이해하는 상황화 신학을 중시한다. 이런 상황화의 두 흐름은 Missio Dei를 다른 시각으로 해석한 결과이다. 이런 이유로 Missio Dei의 두 개념적 발전은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컬 진영 안에서 각기 다른 개념의 상황화를 빚어낸다. Missio Dei는 칼 하르텐슈타인(Karl Hartenstein)에 의해 1952년 빌링겐 대회(Willingen Conference)에서 처음 거론되었다. 이후 휘체돔(Vicedom)이 이를 보급하고, 뉴비긴(Newbigin)은 삼위일체의 관점에서 Missio Dei를 정립했다. 하지만 이 대회에서 호켄다이크(Hoekendijk)는 Missio Dei를 다른 관점으로 제시한다. 그는 Missio Dei를 샬롬(Shalom)으로서 하나님이 이 땅에 오신 것을 강조했다. 그래서 그의 Missio Dei는 세상(Context)이 교회보다 더 중요시 된다. 이런 그의 주장을 WCC는 그대로 수용한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WCC는 특정문화를 위한 상황화 신학(Contextrualized Theology)의 발전을 정당화시켰다. 이에 반해, 크리스토퍼라이트(C. Wright)는 WCC의 Missio Dei 사상과 상황화 신학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한다. 그의 선교적 성경해석학은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 속에서 다양하게 발전한 상황화 신학의 위험성을 알린다. 결론적으로 그는 성경의 메시지가 급변하는 다양한 세상 속에서 성경적으로 상황화가 되어, 하나님께서 택한 백성을 구원하시는 ‘Missio Dei’를 실천할 것을 촉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valuate the ‘Mission of God’(Missio Dei) for biblical contextualization. The modern contextualization of the Bible can convey different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Evangelism and the Ecumenicalism. The conceptual difference of the contextualization results from the different approaches to the Missio Dei. Firstly, the Lausanne Congress interprets the contextualization as a process of effective delivery of the Gospel to another culture without any changes or distortion to the original meaning thereof. On the other side, WCC values the contextual theology of understanding the Gospel in all areas and contexts of the mission including the theology and ethics. Such divergence in the contextualization is a result of two different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the Missio Dei. Consequently, development of the two concepts has led to contextualization of different concepts in the Evangelism and the Ecumenicalism camps. Missio Dei was first discussed at the Willingen Conference in 1952 by Karl Hartenstein. Later, the concept was spread by Vicedom, followed by Newbigin, who defined the Missio Dei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oly Trinity. Yet, Hoekendijk proposed a different approach to Missio Dei at the conference. He emphasized the coming of God on the Earth as Shalom to explain the Missio Dei, which means the Context is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Church. WCC has accepted this argument and, as a consequence, justified the development of the contextualized theology for certain cultures. However, C. Wright had a frontal refutation of the ideas of Missio Dei and the contextualized theology. Nowadays, in the postmodernism, his missionary Biblical analysis alerts the risks of the divergently developed contextualized theology. In conclusion, he argues for the demand for the actualization of the ‘Mission Dei’ of God’s redemption of his people through Biblical contextualization of the God’s messages in the Bible in the various contexts of the rapidly changing world.

1 서론

2 상황화의 기원과 개념

3 복음주의와 에큐메니컬 진영

4 하나님 선교(Missio Dei)의 재고(再考)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