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650.jpg
KCI등재 학술저널

직업군인의 근무평정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Service Members Perception and Execu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104

국내·외적인 경제 환경 및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군 조직 구성원들의 일반 사회적 욕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직장에 대한 인식도 변화되어 감에 따라 군 조직과 구성원간의 관계도 이해 타산적 관계의 성격을 띄어가고 있다. 따라서 군 조직에서의 근무평정은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진급(승진)뿐만 아니라 배치전환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진급(승진)에서 선발되지 못하면 이직(전역) 현상이 발생할 수 있어 군에서의 근무평정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군 근무평정에 대한 인식도와 실천도가 조직유효성의 관계에서 인지적·정서적 신뢰의 조절효과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군 근무평정의 평가체계에 대한 합리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근무평정은 군 조직구성원 개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인사관리의 가장 근원이 되는 인사제도로써 직업군인들의 진급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조직구성원들의 행동과 군대문화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ollowing the changes in the economic environment and values, inside and outside the national boundaries, members of the military organization has shown an increase in the amount of interest in general social desires. Their perspectives of their work places have changed along with the above changes as relations among the members of the military are increasingly characterized by selfish interest. Given as such, performance evaluation constitutes an integral part of professional life in the military. The importance of performance evaluation is increasing because it not only influences promotion but also affects re-assignment which may prompt the members to leave.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is dedicated to finding how the perception and the execu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under the framework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ffects the controlling power of cognitive and emotional trust, and to suggesting reasonable ways of performance evaluation. Hence, it is fair to argue that performance evaluation resides in the heart of all personnel policies and plays a determining role in promotion. It has been found to be playing a key role in influencing the behavior of the members of the armed forces and the military culture itself.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설계 및 대상 조사

4. 실증분석 및 가설의 검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