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665.jpg
학술저널

한반도 정세변화의 패러독스

지정학적 관점

  • 152

이 연구는 지정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한반도 정세변화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지정학은 강대국들의 세계전략에 관한 논의이다. 과거 우리는 지정학의 일방적 피해자로 자리해 왔지만, 지금부터는 우리식의 지정학적 세계관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남북한의 통일과 21세기 국가의 생존을 위해서는 우리의 비전을 담은 전략적 사고가 요구된다. 그렇지 않을 경우,역사는 언제나 반복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21세기 들어 본격화된 ‘중국의 부상’은 동북아 세력균형에 변화를 초래하고 미국의 패권적 지위에 기반한 동북아 질서에도 충격을 주고 있다. 한국도 새로운 안보환경에 대응하고 국익을 보호하기 위한 신 외교전략이 필요하다. 부상하는 중국에 편승할 것인가? 아니면, 전통적인 동맹관계를 유지해 온 미국의 입장에 설 것인가?. 그것도 아니면, 아무도 인정해 주지 않는 균형자로써의 지위를 외로이 외쳐 나갈 것인가?. 선택의 시간이 멀지 않았다. 한국은 지정학적 위치에 따른 역사적 교훈을 얻은 바 있다.

The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changes in the situ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from a geopolitical perspective. It has been delved into the process of fierce conflicts and reconciliations between two Koreas that went through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foundation of a nation, the Korean War and economic development achieved today. Geopolitics pertains to global strategies discussed among super powers. In the past, Korea was a unilateral victim of geopolitics, but today, it is requested to establish its own geopolitical view of the world. In order to achieve reunification of two Koreas and to facilitate survival of the nation in the 21st century, Korea needs to come up with strategic thought based on a vision. Otherwise, history is likely to be repeated. The emergence of China, which began in earnest in the 21st century, has caused a change in the balance of power in Northeast Asia and shocked the order of Northeast Asia based on the hegemonic status of the U.S. South Korea also needs a new diplomatic strategy to respond to the new security environment and protect its national interests. Will it ride on the rising China? Or will it be in the position of the U.S., which has maintained its traditional alliance? The choice is not far off. South Korea will have to learn a historical lesson based on its geopolitical position.

Ⅰ. 서론

Ⅱ. 과거: 지정학의 역사적 교훈

Ⅲ. 현재: 한반도! 지정학의 귀환인가

Ⅳ. 결론: 우리의 선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