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관리의 시스템화를 위한 재난교육체계 운영 방향에 대한 제언
A Suggestion on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Disaster Education System for the Systematization of Disaster Management
- 대구과학대학교 국방안보연구소
- 사회융합연구
- 제1권 제2호
- : KCI등재후보
- 2017.08
- 29 - 37 (9 pages)
재난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통합적인 재난대응이 요구되고 있어 재난관리의 현장대응 부서로서 소방의 역할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반면, 국내에는 재난(재해)에 대비하여 전문교육을 받을 수 있는 안전교육 시설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며 중앙정부에서 실시하는 교육으로 진행되고 있다. 미국과 일본, 독일 등 선진국에서는 안전교육을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에 편성해 재난 유형에 따른 맞춤형 안전교육 을 실시하고 있으며, 철저하게 체험 위주의 재난안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의 경우 재난관리에 있어 중앙정부에 대한 의존도가 높고 재난에 대처하기 위한 상시 인력과 물적 재원확보에 어려움이 따르다 보니 재난애등에 있어 핵심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店ㅐ甄?. 이러한 재난관리의 시스템화를 위해서는 중앙정부조직 주도하에 공적인 교유이 진행됨과 동시에 민간대학에서도 재난안전과 관련된 학과개설 및 표준화된 교육과정개발과 지역별 재난안전 대응팀 구축과 재난안전 연구센터, 재난관리전문가의 국가공인자격 제도의 개발 및 인가등을 통하여 재난안전교육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Integrated disaster response is required to effectively respond to the disaster environment, making the role of fire fighting as a field response unit of disaster management very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onsiderable shortage of safety education facilities in Korea that can receive professional education in case of a disaster (disaster) and is being conduc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the U.S., Japan, Germany and other advanced countries, safety education is organized into regular school curricula to provide customized safety education based on the type of disaster, and disaster safety education is strictly based on experience. In comparison, Korea has failed to play a key role in disaster management due to its heavy reliance on the central government in disaster management and difficulties in securing manpower and material resources to cope with disasters. The systematization of such disaster management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a disaster safety education syste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disaster safety response team, development and certification of national qualification system for disaster management experts, as well as the opening of departments related to disaster safety and development of standardized education courses.
1. 서론
2. 재해의료대책의 개념과 중요성
3. 재해유형별 대비책
4. 각국의 재난안전교육 현황
5. 국내 재난안전을 위한 종합안전 체험관 시설현황과 문제점
6. 안전관련 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문제점
7. 재난의료지원에 대한 정책 추진 방향 및 문제점
8. 국가재난의료지원 인력교육 사업 현황 및 문제점
9. 재난안전 교육훈련체계 운영 방향
10.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