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 지역 대학생의 음주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능력
Drinking Level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9 No.2
-
2017.041055 - 1067 (13 pages)
-
DOI : 10.37727/jkdas.2017.19.2.1055
- 148
본 연구는 보건의료관련 학과를 제외한 학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음주정도와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 능력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6년 11월 1일부터 2016년 11월 30일까지였다. 자료분석은 Pearson s 상관계수와 일원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32.2%가 문제음주자(AUDIT-K 12점 이상)였으며, 음주정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알코올사용장애 집단의 과제난이도 선호 자기효능감이 비문제성 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음주정도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의 차이는 대인관계능력, 처음관계 맺기, 자기노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처음관계 맺기와 자기노출에서 비문제성 집단(11점 이하)보다 ‘알코올사용장애’집단(15점 이상)에서 대인관계능력이 높았다. 음주와 대인관계 능력, 자기효능감과 대인관계 능력 간에 정적관계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음주와 대인관계능력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자신감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여 남성이 여성보다 자신감이 높았다. 따라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절주교육과 음주문제 감소 전략을 계획할 때 대인관계능력과 자기효능감 변인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알코올문제 예방교육을 할 때 AUDIT-K를 통한 문제음주군 선별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aim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drinking levels,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289 college students living in D area were assessed with the Korean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K), from November 1st to November 30th, 2016.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one-way ANOVA. The percentage of problem drinkers was 32.2% among the 289 subjects. Alcohol use disorder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lower mean scores on the task difficulty preference self-efficacy than the non-problem drinkers. Alcohol use disorder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mean scores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initiating relationships, self-disclosure than the non-problem drinker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onfidence by gend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rinking level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y gend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rinking levels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betwee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hen we prepare alcohol prevention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we need to consider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to evaluate the level of AUDIT-K.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