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서와 미국유서 간 비교연구: K-LIWC와 의미추출법(MEM)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Analysis in Suicidal Notes between Korean and U.S., based on Meaning Extraction Method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9 No.2
- : KCI등재
- 2017.04
- 897 - 915 (19 pages)
본 연구에서 한국 유서와 미국 유서 간 차이점을 살펴보기 위해 LIWC를 사용하여 기능어 범주와 내용어 범주에 해당되는 단어 수를 헤아려 보았다. 그 결과, 미국 유서에서 기능어(지시대명사 등)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었고, 더 많은 문장, 문단, 형태소가 담겨 있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한국 유서는 글이 비교적 짧은 편이었고 한 문장에 포함된 단어와 형태소의 수가 더 적었다. 인간, 가족이라는 공동체를 의미하는 단어는 한국 유서에서 유의미하게 더 많이 나타났고 자살을 지연하는데 일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유서에서 부정적 감정 단어를 더 사용하되 사고력을 요하는 인지적 단어 사용 빈도는 더 적게 분포했다. 즉 서양보다 한국 자살사망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상황을 더 비관적으로 보고 합리적으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능력에 심각한 손상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두 유서에서 상위 40개의 단어를 비교한 결과 한국 유서는 자신의 죽음에 대한 죄책감을 나타내는 단어와 가족과 관련된 단어를 많이 사용한 반면, 미국 유서는 자기 자신 내지는 자신의 관념과 관련된 단어들이 많이 쓰였다. 이 점은 유서 요인을 살펴 본 결과와도 유사했는데, 4가지 요인에서 상당 부분 일치했으나 나머지 한 요인에서는 차이가 있었다. 이는 한국 사회에서 나타나는 고유한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cross-cultural differences between 276 Korean suicidal notes and 278 U.S. suicidal notes. The KLIWC as a word counting program was adopted to analyze the psychological/linguistic components of suicidal notes respectively. Asa result, overall, both function and content words in U.S. suicidal notes were more likely to be appeared than in Korean suicidal notes. However, the specific words related to human, family and bond are more likely to be occurred in Korean suicidal notes. In particular, cognitive constraints in psychological domain such as limitation and restriction as well as negatively emotional words were more prevalent in Korean suicidal notes. Among 40 words most appeared over both suicidal notes, guilty, family and death in Korean suicidal notes were more exposed, while self and conception of death itself in U.S. suicidal notes were more revealed. Based on the suicidal-schema analysis by means of factor analysis, five factors were identified in both suicidal notes. Factors in both countries were almost similar, but regret/repentance factor was uniquely differentiated from U.S. suicidal notes schemas
1. 서론
2. 분석방법
3. 분석 결과
4. 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