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미디어 패널자료를 이용한 국내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자 분석

Analysis of Social Network Services Users by Korea Media Panel Survey

DOI : 10.37727/jkdas.2017.19.3.1363
  • 177

모바일 기기의 확산과 더불어 다양한 형태로 새롭게 진화하고 있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개인들 간의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 전사회적인 관심을 확산하여 사회변화를 이끄는 중요한 수단들 가운데 하나이다. 이에 따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집중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관련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심층적인 연구자료 제공을 위해 여러 패널조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 역시 개인 및 가구의 다양한 매체이용과 관련한 내용들을 수집하여 이와 관련된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10년부터 시작된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로부터 수집된 개인의 시간대별 매체 이용자료를 기초로 SNS 이용현황과 관련하여 다른 매체 관련 행위들과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동일한 개인들에게 매년 반복측정하고 있는 패널조사의 특성을 고려한 선형혼합모형과 더불어 반응변수 분포 특성을 반영한 일반화추정식을 이용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패널조사의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연도별 분석을 함께 실사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With the proliferation of mobile devices, social network services that are evolving into various forms are one of the important means of leading social change by spreading social interest beyond individual communication means. As a result, social interest in social network services has been focused and various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several panel surveys have been implemented in order to provide in-depth research data in various fields. The Korea media panel survey also aims to provide related data by collecting contents related to various media use of individuals and households. This study examines the cause and effect of other media behaviors related to the use of social network services on the basis of the media usage data of individuals collected from the Korea media panel survey starting from 2010. To do this, the analysis uses the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variables along with the linear mixed model that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nel survey, which is repeatedly measured annually by the same individuals.

1. 서론

2. 패널자료 분석 모형

3. 국내 SNS 이용 현황 분석

4.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