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작은 작업기억용량을 가진 폭식경향자의 스트레스 이후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충동성 연구

The Effect of Working Memory Capacity on Food-Related Impulsivity after Stress in Individuals with Binge Eating Tendency

  • 120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폭식경향이 높고 작업기억용량(working memory capacity: WMC) 과제 수행이 저조할 경우, 스트레스 이후 억제 능력이 감소되어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충동성이 증가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총 120명의 참가자들은 n-back과제를 통해 작업기억용량을 측정하였고, 스트레스를 유발하기 전과 후로 고칼로리와 저칼로리 음식 사진을 제시하는 go/nogo 과제를 실시하여 음식에 대한 충동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참가자는 과일 또는 초콜릿 바를 선택하는 음식 선택 과제를 완료했다. 폭식경향성과 작업기억 과제 수행에 따라 스트레스 이후 음식에 대한 충동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폭식경향이 높으면서 작업기억용량 과제에서 수행이 낮은 자는 스트레스 이후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오경보 오류를 더 많이 나타냈다. 반면에 음식 선택과제에서는 스트레스 유도 이후 폭식경향이 높고 작업기억용량 과제에서 수행이 낮은 자가 고칼로리 음식을 선택하지 않는 행동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폭식 경향이 높고 작업기억용량이 작은 자가 스트레스를 경험할 때 적응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고칼로리 음식에 충동적인 반응을 나타낼 수 있지만 동시에 고칼로리 음식을 회피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whether working memory capacity (WMC) is related to impulsive response to high-calorie food in individuals with binge eating tendency. 120 students completed an assessment of WMC by n-back task. Before and after the stress induction, participants performed a go/nogo task in which go cues and nogo cues were presented with pictures of palatable and healthy foods. Also, participants completed food choice task in which they chose between a fruit and a chocolate bar.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binge eating tendency and WM task error after stress induction. Individuals with higher binge eating tendency and lower WM task performance made more commission error in go/nogo task after exposed to stress. Whereas a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in the food choice task in different direc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lower WMC may decrease the ability of individuals with high binge eating tendency to handle stress and increase impulsive responses to high-calorie foods.

1. 서론

2. 방법

3. 결과

4. 논의 및 결론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