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인 성인 남자에서 흡연이 신체구성 지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igarette Smoking on Body Composition in Korean Adult Men

DOI : 10.37727/jkdas.2019.21.1.413
  • 54

흡연과 신체구성 지표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선행되어왔다. 그러나 그 상관관계의 분석은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성인 남자에서 흡연이 신체구성 지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에 따른 의미를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20-69세 남자 308명을 대상으로 흡연 군과 비흡연 군으로 나누었으며, 연령대는 49세 이하, 50-59세, 60세 이상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신체구성 지표는 체중, 골격근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체질량지수, 기초대사량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연령 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흡연 군과 비흡연 군 간의 신체구성 지표에는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령대에 따라 나눈 세 군에서 신체구성 지표를 분석한 결과 49세 이하, 60세 이상 군에서는 흡연과 비흡연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50-59세 연령대에서 체중과 체지방량이 흡연 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연령대보다 50대에서 흡연이 체중 및 체지방량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성인병 발병률이 높아지는 50대에서 이러한 영향에 대한 심층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body composition and age parameters in relation to cigarette smoking. The study enrolled 308 healthy adult men working in H company in B city, South Korea. The first part of the study assessed body composition (weight, skeletal muscle mass, body fat mass, body mass index, basal metabolic rate) according to their smoking habits (smokers or non-smokers).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analyzed body composition according to smoking habits in three groups of ages (20-49, 50-59, 60-69 years old). The body composition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of smokers and non-smokers. However, in men from 50 to 59 years old, weight and body fat mass of body composi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on-smokers. For from 50 to 59 year old men, smoking might have an effect on decreasing weight and body fat mass. The results suggest that smoking might be related to lipid metabolism, especially fiftie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