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거주 재가노인들의 씹기 및 삼킴 문제 영향요인
Chewing and Swallowing Problems and Related Factors in Healthy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1 No.1
-
2019.02423 - 436 (14 pages)
-
DOI : 10.37727/jkdas.2019.21.1.423
- 이용수 136
초록
본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재가노인들 중 씹기나 삼킴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질환의 과거력이 없는 건강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이 자가 보고하는 씹기 문제 그리고 삼킴 문제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의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만 65세이상 노인 170명(남자 88명, 여자 82명)이며, 평균 연령은 75.40±6.18세이었다. 이들에게서 씹기 문제는 ‘결손치가 있어서 의치를 사용’하거나 혹은, ‘결손치가 있으나 의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결손치가 없어서 의치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보다 각각 9.872배(오즈비(odds ratio, OR)=9.872, 95% 신뢰 구간(confidential interval, CI)=1.917-50.833), 8.404배(OR=8.404, 95% CI=3.058-23.093) 높았다. 삼킴 문제와 관련하여서는 구강 건조감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서보다 6.141배(OR=6.141, 95% CI=1.973-19.112)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건강한 노인들에서 관찰되는 씹기 문제와 삼킴 문제에 있어서 각각 의치와 구강 건조감이 주요한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지역사회 거주 재가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씹기 및 삼킴 문제 예방 교육 프로그램과 중재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self-reported chewing and swallowing problems among healthy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ho have no history of diseases that may cause these problems. The subjects were 170 elderly individuals (88 men, 82 women) above 65 years of age (mean age=75.40±6.18 years) who were recruited from the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missing teeth with dentures’ (odds ratio (OR)=9.872, 95% confidential interval (CI)=1.917-50.833) and ‘missing teeth without dentures’ (OR=8.404, 95% CI=3.058-23.093) were statistically associated with subjective chewing problems. Subjective mouth dryness affected swallowing problems (OR=6.141, 95% CI=1.973-19.112). In this study, denture and oral dryness were found to be major factors in chewing and swallowing problems observed in healthy elderly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prevention and education program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42)
- 대학보건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 LASSO 방법을 이용한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 행태 분석
- 중소기업의 노동소득분배율 결정요인
- 간호대학생의 환자권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여성노인을 위한 강점중심 탄력성 증진 프로그램 효과
- 남자 프로 배구 경기 기록이 V-리그 시즌 승률에 미치는 영향
- 흥미도 측도 관점에서 상대적 예방 강도의 고찰
- 가을철 날씨, 요일, 명절이 면적별 서울 내 음식점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 좌・우뇌 뇌졸중에 따른 한국판 몬트리올 의사소통 평가 프로토콜에서의 수행력: 양적 vs 질적 분석
- 창업의도와 경제성장 간의 관계 분석
- A Latent Profile Analysis on Juvenile Probationer s Callous Unemotional Traits
- 아세안(ASEAN) 외국인직접투자 유입과 경제성장
- 범프탐색방법의 잡음변수 존재 여부에 따른 예측력과 효율성 비교
- 항공사 선택속성이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더블링 기법을 이용한 대응분석의 활용
- 응급실 내원 환자의 한국형 중증도 분류 도구를 활용한 재분류 유형 분석
- 대학 취업지원 프로그램 참여가 고용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리듬의 복잡성과 속도가 양손 협응 구조에 미치는 영향
- 요양병원 간호사의 스트레스 대처 유형과 소진간의 관계에서 극복력의 매개효과
- 네스티드 로짓모형을 이용한 온라인 쇼핑 채널 선택 분석
- 작은 작업기억용량을 가진 폭식경향자의 스트레스 이후 고칼로리 음식에 대한 충동성 연구
- 성·연령별 전출입자 수 적합모형 개발 연구
- Analyzing the Time-Frequency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Bitcoin and Currencies Markets
- 한국 성인의 흡연-비만 동시 발생과 우울의 관련성 : 2008년-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 지역사회 거주 재가노인들의 씹기 및 삼킴 문제 영향요인
- 전통시장 광고에 따른 경험적 가치가 서비스 진정성과 서비스 적합성을 통한 브랜드 유대감에 미치는 영향 : 제주 동문시장을 중심으로
- 국내 중소기업대출에 미치는 중소기업 지원팩터 제도의 효과성 연구
- 한국인 성인 남자에서 흡연이 신체구성 지표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정당성 인식이 적합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손실 관련 의사결정에서의 의사결정권의 내재적 가치
- 기업어음 신용등급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자료포락분석을 이용한 한식 프랜차이즈 브랜드 간 효율성 분석
- Related-party Transactions and Asymmetric Cost Behavior
- 기업의 건전성이 기업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조절초점이 직무범위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지속적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 서비스 중간재 대체탄력성과 Oulton 가설 검정
- Robust Estimation in Generalized Linear Model Using Density Power Divergence
- 비주류 음료의 수요탄력성 추정에 관한 연구
- 계수 데이터 모형을 이용한 부산지역 구인인원 결정요인 분석
- A Study on Corporate Governance, Risk, and Diversification as Determinants of Firm Value under Restriction of Macroeconomic Variables
- 국내 폐결핵 경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예측요인: 2013년-2016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 영상처리와 딥러닝 기법을 사용한 채소의 등급별 자동 분류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