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36.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공기관 성과연봉제에 관한 공정성 지각이 협력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Justice Perceptions of Public Institution’s Performance-related Pay on Cooperation Behavior

DOI : 10.38134/klgr.2020.21.4.051
  • 157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구성원들의 성과연봉제에 관한 조직공정성 지각과 협력행동간의 영향관계와 조직신뢰의 매개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성과연봉제의 조직공정성은 분배공정성(기본급, 직무급, 성과급)과 절차공정성으로 나누고, 협력행동은 개인 및 부서로 나눠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성과연봉제의 분배공정성과 협력행동 간의 영향관계에서는 기본급의 분배공정성만이 개인 간 협력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직무급과 성과급의 분배공정성은 협력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성과에 따른 차등이 미미한 성과급의 현실과 전체 급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적은 직무급의 현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성과연봉제의 절차공정성은 부서 간 협력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 간 협력행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절차공정성이 개인적인 경험보다는 부서나 기관 차원의 규정이나 절차에 주로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는 분배공정성과 협력행동의 관계에서는 없고, 절차공정성과 협력행동의 관계에서는 개인 및 부서 모두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많은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Ⅰ. 서 론

Ⅱ. 성과연봉제의 의의와 운영현황

Ⅲ. 이론적 배경과 가설의 설정

Ⅳ. 연구의 설계

Ⅴ. 실증분석

Ⅵ. 결론 및 정책적 함의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