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34.jpg
KCI등재 학술저널

주민의 공공서비스 만족을 통한 ‘삶의 질’ 분석

An Analysis of Quality of Life with the Satisfaction of Public Services: Comparison between 10th and 25th Years of Local Autonomy in S. Korea

DOI : 10.38134/klgr.2019.21.2.143
  • 44

주민들의 공공서비스에 대한 만족은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공공서비스 정책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경산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2001년과 2017년의 만족도를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주민들의 ‘삶의 질’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2017년이 더 높게 나왔다. (2)경제생활 부문을 비롯한 전 부문에서의 주민만족도는 2017년이 2001년에 비해서 더 높아졌다. 그러한 결과의 주된 이유는 경산시의 도시기반시설의 확충과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 그리고 생활편의시설 및 교통시설의 확충으로 보다 편리한 생활환경이 조성되어졌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경산시의 빠른 도시화 진행과 주민생활형태의 변화도 함께 진행되었고 여기에 맞는 여러 시설들의 확충 등도 주민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대구로 이주를 계획하고 있는 비율이 2001년 대비 2017년에는 대폭 감소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경산시 주민들이 느끼는 삶의 질 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와 경산시에서 제공되고 있는 생활의 여건들이 과거에 비해서 많이 향상되었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Ⅰ. 서 론

Ⅱ. 「삶의 질」의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및 분석

Ⅳ. 결 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