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사회의 복지태도에 대한 실증적 재검증을 위해, 복지패널조사의 ‘복지인 식조사 부가조사자료’를 활용하여 한국인 복지태도의 최근 경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고, 나아가 복지태도의 설명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복지태도를 구성하는 다양한 개념에 대 한 설명요인을 규명함으로써 복지국가로 향하는 과도기적 단계에 있는 우리사회의 복지 태도를 현 시점에서 단계적으로 추적하여 실증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복지태도의 변화추이를 고려한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정책의 수립방안에 시사점을 제 공함에 그 의의를 둔다. 본 연구의 결과 복지부담금이 상승하고 있고, 분배중시 가치관과 보편적 복지중시 가치관이 감소하며, 정치성향에서 보수적인 사람과 진보적인 사람이 일 관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주민의 복지태도는 정치적 성향 보다 는 체감하는 복지정책의 효과에 기반하는 것으로 지방자치단체의 복지지출 확대는 주민 의 선호에 부합하고, 지역사회와의 공감대가 형성될 때 정치적 지지와 연결됨을 보여준다.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