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문헌조사를 통하여 파악하고, 이 변수들을 사용하여 실제적으로 한국의 노인들이 얼마나 노화에 잘 대비되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또한 성공적 노화를 위한 향후의 노인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인을 신체적, 가족적, 사회적, 심리적, 경제적요인 등 5가지 요인들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 조사대상자들의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대비상황은 그렇게 높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체적 요인에 대한 인식수준이 평균 3.13, 가족적 요인이 평균 3.39, 사회적 요인이 평균 3.21, 심리적 요인이 평균 3.50, 경제적 요인이 평균 3.39로 대부분 평균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사가 정기적으로 사회적인 모임을 갖는 특정의 시설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대비현황은 그렇게 높지 않다고 볼 수 있다.
Ⅰ. 서 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조사설계 및 분석결과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