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빠왕사(Dīpavaṃsa)』와 『마하왕사(Mahāvaṃsa)』는 고대 스리랑카(랑까섬)를 비롯한 인도불교의 다양한 사료들을 다루고 있는 텍스트로서, 전자는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빠알리 연대기이며, 후자는 전자의 연대기적 단점들을 보완한 대표적인 연대기이다. 이들 두 문헌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해 논자는 정사의 사관에 가려진 테라와다 초기의 다양했던 사료들을 검토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검토할 주제는 <붓다의 랑까섬 예찬>이다. 『디빠왕사』 1장은 총 15개의 게송들을 바탕으로 이 내러티브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다: ① 깨달음 직후, ② 랑까섬 찬탄, ③ 예언: 랑까섬 정화, ④ 예언: 세 번의 결집, ⑤ 예언: 아소까와 마힌다의 등장, ⑥ 랑까섬 보호. 반면, 『마하왕사』는 1송도 되지 않는 짧은 문구를 통해 붓다가 랑까섬을 정법의 장소로 예견하고 있었음을 밝히고 있다. 이처럼 상이한 서술방식에도 불구하고, 이들 두 텍스트에는 동일한 서술의도, 즉 이미 붓다에 의해 랑까섬이 정법의 장소로서 결정되어 있었음을 강조하려는 해석학적 의도가 투사되어 있다. 다만, 전자는 깨달음 직후 붓다의 찬탄과 예언을 서술하는데 초점을 두었다면, 후자는 서사적 완성도를 보완하여 새로운 내러티브(붓다의 랑까섬 방문)를 완성했다. 이러한 차이점을 통해 우리는 두 연대기가 지닌 텍스트적 특징과 해석학적 방법에 대한 일면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eries of articles is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first chapter between Dīpavaṃsa and Mahāvaṃsa, which are the oldest and most representative texts among the extant Pāli chronicles. This article especially scrutinizes the narrative of the Buddha’s Praise and Prophecy of Laṅkādīpa found in these two chronicles. The narrative of Dīpavaṃsa consists of six substories, namely, After (1) the Buddha’s Enlightenment, (2) Praising the isle of Laṅkā, (3) Purification of the isle, (4) Three Councils, (5) the Propagation of Asoka’s son Mahinda, (6) Protecting the isle. These stories focus on the inevitable transmission of Buddhist tradition to the isle of Laṅkā. While the Dīpavaṃsa describes this narrative by fifteen verses in detail, the Mahāvaṃsa only by half verse very briefly. Rather, the latter establishes a huge narrative, Visiting of the Buddha’s which describes the Buddha visits the isle of Laṅkā three times in order to purify it.
Ⅰ. 서론
Ⅱ. 랑까섬 예찬: Dpv 1.14-28; Mhv 1.20a
Ⅲ.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