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정책 리터러시가 신뢰와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olicy Literacy on Trust and Acceptance: Focusing on nuclear energy

  • 97
151741.jpg

본 연구는 원자력 에너지에 대한 수용성 확보 요인이 무엇인가를 정책 리터러시와 신뢰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 독립변수인 정책 리터러시 요인은 일반적으로 수용성 연구에서 활용하고 있는 지식수준에 대한 측정을 좀 더 확장하여, 정책에 대한 이해도를 포함한 개념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정책 리터러시를 전통적 리터러시, 기능적 리터러시, 비판적 리터러시로 구분하고, 신뢰 및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결과, 정책 리터러시 중 전통적 리터러시와 기능적 리터러시는 신뢰와 수용성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비판적 리터러시의 경우 신뢰와 수용성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중요한 함의점은 일반국민들의 경우 단순히 원자력에 대해 지식을 얻는 것보다 원자력에 대해 비판할 수 있는 능력이 확보될 때 원자력에 대한 신뢰와 수용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s a empirical analysis focusing on policy literacy and trust factors for nuclear energy.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study were policy literacy, and the components included traditional literacy,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factors. Particularly, we investigate the direct effects of traditional literacy, functional literacy, and critical literacy on acceptance and the effect of trust as a mediating facto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document evidence that the public display greater acceptance to nuclear energy when they are provided with more critical literacy. On the other hand, we found that traditional and functional literacy did not affect public acceptance. Importantly, we find that this factor also have an indirect effect on acceptance through trust. Based on the findings, we develop some policy suggestions to secure acceptance of the public nuclear energy.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