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폭력 집단의 종단적 변화 유형과 심리적 특성
Latent Change Types in School Violence Groups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9 No.3
- : KCI등재
- 2017.06
- 1515 - 1534 (20 pages)
본 연구는 초6에서 중1까지의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경험을 바탕으로 학교폭력 집단(학교폭력 무경험/가해/피해/가해피해 집단)을 구분하여 종단적 변화 유형을 확인하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의 초4 패널 종단자료(2012-2013년도)에 복합표본설계를 적용하여 빈도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무경험 집단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였다. 둘째, 학교폭력 무경험 집단에서 학교폭력 가해 집단으로 이동하는데 개인 변수(공격성, 사회적 위축, 주의집중, 휴대폰 의존도, 우울, 신체증상) 및 학교 변수(학교규칙, 학습활동, 교우관계)가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학교폭력 무경험 집단에서 학교폭력 피해 집단으로 이동하는데 개인 변수(신체증상, 우울, 휴대폰 의존도, 삶의 만족도) 및 부모/학교 변수(부모양육_방임, 교우관계)가 유의한 영향력을 가졌다. 넷째, 학교폭력 무경험 집단에서 학교폭력 가해피해집단으로 이동하는데 개인 변수(신체증상, 휴대폰 의존도, 우울) 및 학교 변수(학교규칙)가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무경험 집단의 종단적 특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학교폭력 예방 및 개입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according to non-experienced / bullying / victimized / overlapped group based on the school violence experience. At the same time, the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of psychological variables between groups classified by longitudinal school violence experience patterns. In examining hypotheses, simple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complex samples were used in ‘KCYPS’ data (2012-2013). First, school violence non-experienced group increased with time. Second, 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ttention, cell-phone dependence, depression, somatic symptoms and school rules, learning activities, friendship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ange to bullying group from school violence non-experienced group. Third, somatic symptoms, depression, cell-phone dependence, life satisfaction and parent rearing_neglect, friendship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ange to victimized group from school violence non-experienced group. Finally, somatic symptoms, cell-phone dependence, depression and school rul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hange to overlapped group from school violence non-experienced group.
1. 서론
2. 연구문제
3. 방법
4. 결과
5. 논의 및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