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페이스북 댓글을 통해 살펴본 대구·경북(TK) 촛불집회

Examining South Korea’s 2016 Candlelight Vigil using Publicly-Responded Data and Scraped Comments from Facebook Pages: Focusing on Taegu-Kyeongbuk (TK) Region

DOI : 10.37727/jkdas.2017.19.4.2107
  • 39

2016년 촛불집회는 과거와 달리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전개되었다. 그러나 서울 광화문 광장 이외에서 진행된 촛불집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그 중요성에 비해서 주목받지 못했다. 이 연구는 지방의 촛불집회 특히,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대구·경북(TK) 촛불집회에 주목하였다. 본 논문은 페이스북에 남겨진 데이터를 이용해 촛불집회에 나타난 TK지역 여론의 행위자와 댓글의 내용을 검토한다. 첫째, 페이지의 운영주체에 따라 페이스북 이용자 행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둘째, 집회유형에 따른 댓글의 의견과 그 전개양상이 다른지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으로 이용자 반응분석, 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의미망분석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페이스북 이용자들의 관심도, 참여율, 응집도는 전통 미디어에서 운영한 페이지보다 시민참여형 UCC(user created content) 페이지에서 높게 나타났다. 집회유형으로 보면, 촛불집회 댓글들과 비교해 ‘박사모’ 반응에서 노인폄하 단어 등 부정적 단어들이 더 자주 출현했다. 이 연구는 페이스북 댓글 데이터를 이용해서 기존에 자주 수행된 마케팅과 선거캠페인을 넘어서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미뿐만 아니라 사회적 가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examines South Korea’s 2016 candlelight protests to impeach President Geun-Hye Park. While hundreds of thousands of Koreans held a candlelight vigil around the country, comparatively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aegu-Kyeongbuk (TK) region that is well known as the political hometown of President Park. Using publicly-responded data and scrapped comments from Facebook page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current study found that there were more comments and replies with pro-Park rally than anti-Park protest. However, there were more social interactions between moderator and Facebook users watching anti-Park protest, that was live-streamed by the Facebook page of a local TV station. The study also found that Facebook users expressed more negative feelings to rival-protest in TK over Park’s impeachment. In this study, we analyze many Facebook commen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ynamics of civic protest. This is important because it has social and academic values.

1. 서론

2. 문헌검토 및 연구문제

3. 연구방법: 데이터수집과 분석기법

4. 연구결과

5. 결론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