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도시와 농촌지역 성인의 비만과 개인적, 사회적 환경 요인의 관련성

Personal and Social Environmental Correlates of Obesity in Urban and Rural Adults

DOI : 10.37727/jkdas.2017.19.4.2189
  • 114

본 연구는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도시와 농촌지역 성인의 비만과 관련된 개인적, 사회적 환경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단면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국 253개 시군구 중에서 197개 시군구의 동(도시) 또는 읍․면(농촌)에 거주하는 19-65세 성인 126,481명이며,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환경 요인은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은 걷기실천, 과일섭취 및 고염식 선호였으며, 사회적 환경 요인은 이웃간 신뢰, 이웃간 도움, 사회활동 참여, 사회연결망이었다. 성인의 비만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환경 요인 중 사회연결망은 농촌지역 성인의 비만과 관련이 있었으며, 이웃간 도움은 도시 성인의 비만과 관련이 있었다. 걷기실천과 고염식 선호는 도시와 농촌 성인 모두 비만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으나, 과일섭취 빈도는 도시 성인만 관련이 있었다. 지역사회에서 성인의 비만을 예방 및 관리하기 위해 개인의 건강행위 개선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 변수를 포함한 건강증진사업 접근 전략이 필요하며, 도시와 농촌지역 간에 사회적 환경의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중재 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tudy to identify personal and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related to obesity in urban and rural adults using 2013 community health survey (CHS) data.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6,481 adults aged 19-65 years in urban or rural areas of 197 cities and counties nationwide. A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personal and social environment factors related to obesity in ad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health behaviors influencing adult obesity were walking, fruit consumption and high salt preference. Among social environment factors affecting adult obesity, social network was associated with obesity in rural adults, and neighbors help was associated with obesity in urban adults. Walking and high salt preferenc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obesity in both urban and rural adults, but fruit consumption was related only tour ban adults. In order to prevent and manage adult obesity in the community, health promotion strategies including social environment variables are required as well as improvement of health behavior,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rvention strategy considering differences in social environment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