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65.jpg
KCI등재 학술저널

조소앙의 헌법사상

Jo So-Ang’s Constitutional Thought -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his Doctrine of Three-Equalities

  • 552

조소앙은 1919년 4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수립될 때부터 1945년 임정요인들이 귀국할 때까지 함께 한 독립운동가이자 임시정부 최고의 이론가였다. 그는 유교경전을 익히면서도 서양문물을 접할 수 있는 가정환경에서 성장하였다. 조소앙은 1904년 황실특파유학생으로 선발되어 일본으로 유학을 떠난 후 1908년에 메이지대학에 입학하여 법학을 전공하였다. 그는 1913년에 중국으로 건너가서 독립운동에 본격적으로 투신하였고, 대동단결선언, 대한독립선언서, 대한민국임시헌장을 작성하는데 중심역할을 하였다. 조소앙은 1919년부터 1921년까지 약 2년간 유럽에서 외교활동을 벌였는데 이때 접한 유럽의 사회민주주의사상이 이후 그의 삼균주의 사상이 형성되는데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삼균주의는 1941년 임시정부가 채택한 대한민국건국강령에서 체계화되었다. 1917년의 대동단결선언은 근대국민국가 사상에 기초하여 군주주권을 폐기하고 국민주권을 선포하였으며 헌법을 제정하여 법치주의를 구현할 것을 천명하였다. 1919년의 대한독립선언서에서는 대한민주의 독립을 선언하여 새로운 독립국가의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조소앙의 사상은 대한민국임시헌장에서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며(제1조) 대한민국의 인민은 모두 평등하다(제3조)는 규정으로 연결되었다. 특히 민주공화국이라는 표현은 비교헌법적으로 볼 때 당시 세계적으로 최첨단에 있었다. 조소앙은 1920년대 후반에 좌우의 독립운동세력을 하나로 모으려는 노력 속에 삼균주의 사상을 발전시켰다. 삼균주의는 1930년 결성된 한국독립당의 강령의 기초가 되었다. 또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1941년에 제정한 대한민국건국강령의 기초를 이루었다. 삼균주의는 개인과 개인, 민족과 민족, 그리고 국가와 국가사이의 평등을 추구하였는데, 개인과 개인간의 평등은 보통선거를 통한 권력의 균등, 경제력의 균등, 교육의 균등을 의미하였다. 그는 국민국가 차원에서의 독립을 추구하였기 때문에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의 2중혁명을 방지하기 위해 경제력의 균등을 강조하였다. 조소앙의 삼균주의는 1948년의 헌법제정에서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신생 대한민국에서 1950년대에 교육을 통한 인적 인프라와 농지개혁을 통한 경제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지침이 되었다. 조소앙은 두 개의 세계대전을 겪은 20세기 전반에 당시의 시대정신과 호흡하면서 새로운 민주공화국을 건설할 헌법사상의 기초를 세웠다. 오늘날의 새로운 도전 속에서 조소앙의 삼균주의의 기본을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Jo So-Ang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and top theoris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e grew up in a family background where he could learn Confucian ideas and have access to Western culture. He went to Japan in 1904 with royal scholarship and majored in law during 1908-1912 at Meiji University in Tokyo. He moved to China in 1913 and committed himself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played a central role in writing the Declaration of the Grand Solidarity,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Korea and the Provisional Charter of the Republic of Korea. Jo So-Ang was engaged in diplomatic activities in Europe for about two years from 1919 to 1921, and the ideas of social democracy in Europe that he encountered had a considerable impact on the formation of his constitutional thought. His Doctrine of Three-Equalities was systematized in the Code for Found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dopt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in 1941. The Declaration of the Grand Solidarity in 1917 based on the ideas of the modern nation state abolished the monarchy and proclaimed that the Constitution should be made.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Korea in 1919 presented a concrete vision of a new independent state by focusing on democracy. His thought got linked to the Provisional Charter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Article 1), and “All of the people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equal(Article 3) In particular, the term ‘democratic republic’ was at the cutting edge of the comparative constitutional world at that time. In the late 1920s, Jo So-Ang developed the Doctrine of Three-Equalities in an effort to bring together the left and right independence movement forces. So, this doctrine became the basis of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s programme of 1930. It also formed the basis of the Code for Found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enacted by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in 1941. The Doctrine of Three-Equalities pursued equality between individuals, between ethnicities, as well as between nations. The equality between individuals meant equality of political power through universal suffrage, equality of economic power, and equality in education. As he sought independence on the level of nation state, he emphasized equality of economic power to prevent the two-stage revolution of proletarian internationalism. Jo So-Ang’s Doctrine of Three-Equalitie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nstitution of 1948. It formed also the basic principle of building human infrastructure through education and economic infrastructure through land reform in the 1950s.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Jo So-Ang struggled with the zeitgeist until he laid the foundation for the constitutional idea of building a new democratic republic. Given today s new challenges, it seems necessary to look back on the basics of Jo So-Ang’s Doctrine of Three-Equalities.

Ⅰ. 서론

Ⅱ. 조소앙의 삶과 독립운동

Ⅲ. 삼균주의의 준비기

Ⅳ. 「대한민국건국강령」과 삼균주의

Ⅴ. 삼균주의와 제헌헌법에서의 균등주의

Ⅵ. 평가와 과제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