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윤리 교육에서 토론학습이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윤리적 가치관, 도덕 판단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Debate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Ethical Value and Moral Judgment in Nursing Ethics Education
- 이선희(Sunhee Lee) 김순희(Soonhee Kim)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9 No.4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7.08
- 2263 - 2276 (14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윤리 교육에서 CEDA 아카데미 토론학습과 전통적 강의학습이 비판적 사고성향, 윤리적 가치관 및 도덕 판단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는 간호윤리교육이 이루어지는 간호대학생 7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군(39명)과 대조군(35명)으로 구성한 비동등성 사전 사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 CEDA 아카데미 토론학습을 적용한 실험군이 전통식 강의학습을 적용한 대조군보다 사후 윤리적 가치관(t=-6.07, p<.001)과 비판적 사고성향(t=3.47, p=.001)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사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평균차이 비교에서도 윤리적 가치관과 비판적 사교성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두 집단 간에 도덕적 판단력은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CEDA 아카데미 토론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과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향후 간호윤리 교육에 CEDA 아카데미 토론과 같은 다양한 교수 학습전략이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a debate with those of lecture education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ethical values and moral judgment.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9 weeks. Participants were 75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in D city. 39 students was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36 students was a control group. The result of them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the ethical values (t=-6.07, p<.001)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3.47, p=.001)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thical valu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mean difference comparison of post tes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providing a debate course to nursing ethics education could be more effective than lectur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to apply various teaching strategies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nursing ethical value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