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융복합산업 교육과정 실효성 검증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urriculum of Sport Convergence Industry
- 신진호(Jin-Ho Shin) 정희석(Hee-Surk Jeong)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9 No.5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7.10
- 2721 - 2730 (10 pages)
본 연구는 스포츠산업 관련 교육과정을 이수하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포츠 융복합산업 교육과정 실효성을 검증하고자 스포츠 융복합산업 교육과정 인식과 만족도 및 수강신청 의도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 한편, 스포츠 융복합산업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여 세종특별자치시를 소재로 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스포츠 융복합산업 교육과정 선정 교과목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듣고 이해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250명의 설문지 중 신뢰가 부족한 자료로 판단된 44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06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SPSS Statistics(ver.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 및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포츠 융복합산업 교육과정 인식은 가치성, 내용성 순으로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융복합산업 교육과정 만족도는 수강신청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융복합산업 교육과정 인식은 가치성, 내용성 순으로 수강신청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was to offe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urriculum of sport convergence industry. It also sought to validate the effect of curriculum awareness of sport convergence industry on satisfaction and class for register intention. The 250 participants of undergraduate who understood new curriculum of sport convergence industry were chosen from located in Sejong city. 206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of 250 questionnaires distributed and collected and 44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because they judged by lack of reliable dat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IBM SPSS Statistics (ver. 20.0)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irst, curriculum awareness of sport convergence industr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atisfaction. Second, curriculum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lass for register intention. Third, curriculum awareness of sport convergence industr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lass for register intention.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및 논의
4.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