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요통을 경험하는 노인을 위한 증상완화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n Nonmedical Intervention Programs for Elder Adults with Low Back Pain

  • 58

본 연구의 목적은 요통을 경험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증상완화를 위해 제공한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문헌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 분석하여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 종류와 건강결과를 파악하고, 추후 요통을 경험하는 노인을 위한 프로그램과 가이드라인 개발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국․내외 한글과 영어로 된 최근 10년간의 논문을 검색한 결과 총 2,897건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문헌 선별과정을 거쳐 17편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주로 적용된 프로그램은 요부안정화운동과 수중운동, 온천요법이었고, 주로 측정된 결과변수는 통증, 기능장애, 신체기능(유연성, 민첩성, 균형감각, 하지근력), 삶의 질이었으며, 통증 -0.73(95% CI: -1.27, -0.18, p=.009), 삶의 질-신체적 영역 0.22(95% CI: 0.05, 0.38, p=.010)이 유의한 변수이었다. 기능장애 -0.30(95% CI: -0.62, 0.02, p=.070), 유연성 0.69(95% CI: -0.08, 1.45, p=.080), 민첩성 -0.29(95%CI: -0.67, 0.10, p=.140), 균형감각 0.86(95%CI: -0.49, 2.20, p=.210), 하지근력 0.69(95%CI: -0.18, 1.57, p=.120), 삶의 질-정신적 영역 0.39(95% CI: -0.13, 0.90, p=.140)은 개별연구에서는 효과적이었으나, 통합된 효과크기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증상완화를 위해 제공된 비약물성, 비의학적 중재프로그램이 통증, 신체적 영역의 삶의 질 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노인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신체활동 증진 프로그램의 적극적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ublished literature to identify the types and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older adults with back pain. 2,897 studies written in Korean or English were reviewed from electronic database and 17 articl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mong nonmedical intervention,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ater exercise, hot spa therapy wer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for older adults with back pain. Effective patient outcomes of the nonmedical intervention were pain -0.73 (95% CI: -1.27, -0.18, p=.009) and QOL-physical 0.22 (95% CI 0.05, 0.38, p=.010).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n disability -0.30 (95% CI -0.62, 0.02, p=.070), flexibility 0.69 (95% CI: -0.08, 1.45, p=.080), agility -0.29 (95% CI: -0.67, 0.10, p=.140), balance 0.86 (95% CI: -0.49, 2.20, p=.210), strength 0.69 (95% CI: -0.18, 1.57, p=.120), and QOL-mental health 0.39 (95% CI: -0.13, 0.90, p=.140). It is necessary to evaluate individual differences in older adults and provide appropriate safe intervention which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tim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