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공감과 불안,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mpathy, Anxiety, and Social Support on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 Undergraduate Students

DOI : 10.37727/jkdas.2017.19.5.2841
  • 142

본 연구는 대학생의 공감과 불안,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2017년 4월 20일에서 5월 20일까지 대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검정, ANOVA, Pearson 상관계수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감과 불안,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의 각각의 평균은 3.20±.30점, 1.69±.48점, 3.59±.55점, 3.15±.44점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대학생활 적응은 불안과 음의 상관관계(r=-.445, p<.001)이며, 사회적 지지와는 양의 상관관계(r=.412, p<.001)가 있었다. 또한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지각된 건강상태(β=.302, p<.001), 사회적 지지(β=.268, p<.001)와 불안(β=-.334, p<.001)이고, 총 설명력은 33.9%(F=18.044, p<.001)였다. 그러므로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불안을 감소시키고 건강과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다 학제적 중재 및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orm the empathy, anxiety, and social support contributing to adjustment of university life in undergraduat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undergraduate students of K university in G city from April 20th to May 20th 2017.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to analyze this data through the SPSS, WIN 24.0. The mean score of the empathy, anxiety,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as 3.20±.30, 1.69±.48, 3.59±.55, 3.15±.44, respectively.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support (r=.412, p<.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anxiety (r=-.445, p<.001). Perceived health status(β=.302, p<.001), social support (β=.268, p=.001), and anxiety (β=-.334, p<.001) influenced on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It’s explanation power was 33.9% (F=18.044, p<.001). Therefore, it’s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program of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s for decreasing anxiety and increasing health and social support in order to improve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