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체질별 식품의 유익여부 관계 분석
A Study on Relation of Food Beneficial State by 8-Constitution
- 김태순(Tae Soon Kim) 이서현(Seo Hyun Lee) 이석훈(Sukhoon Lee)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9 No.6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7.12
- 3041 - 3052 (12 pages)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체질 분류와 체질별 식이요법인 체질식에 대해서도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체질의학에서 체질은 선천적으로 타고나며, 체질별 치료와 예방을 다르게 함은 물론이고 일상에서 섭취하는 식품도 유익한 식품과 해로운 식품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식품의 유익함과 해로움의 기준은 과학적으로 명확히 밝혀졌다 말하기는 힘들다. 본 논문은 체질에 따라 유익함과 해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식품의 한의학적, 영양학적 특성으로 유익여부를 예측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8체질의학에서 제시하는 체질별 섭생표를 기준으로 체질별 유익하고 유익하지 않은 식품으로 구분하고 의사결정나무와 앙상블 모형, 로지스틱 회귀 모형, 서포트 벡터 머신, 신경망 모형을 통하여 체질별 정확률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식품 영양학적 특성을 통한 체질별 식품의 유익여부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s interest in health and quality of life has increased, interest in the constitution classification, which leads to a dietary regimen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and constitution, is increasing. In constitutional medicine, diagnosis and treatment are differently applied according to the constitution that is born congenitally, and foods consumed in daily life are also classified into beneficial food and harmful food. However,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benefits and harms of food have not yet been scientifically clarifi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edict the degree of beneficial effects of foods in the 8-constitution points of view using the information only on medical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foods which can be obtained objectively and easily. As a gold standard, we use the information on the constitutional regimens proposed by the 8-constitution experts. Decision tree, ensemble model, logistic regression model, support vector machine, neural network model.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to predict the benefit of food by constitution through foo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1. 서론
2. 연구대상 자료
3. 자료 분석
4.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