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보건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도 및 이직의도
Professional Self-Concep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School Health Nurse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1 No.1
- : KCI등재
- 2019.02
- 531 - 542 (12 pages)
본 연구는 대학보건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직무만족, 이직의도를 파악하고,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대학보건간호사의 효율적인 인력관리를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2월부터 2017년 2월까지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전국에 소재한 대학보건실에 근무 중인 간호사 중 대학보건간호사회에 등록된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프로그램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의 차이는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직의도는 직무만족(r=-.683, p<.001), 전문직 자아개념(r=-.483,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보건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직 자아개념(β=-.554 p=.007)과 직무만족(β=-.926, p<.001)으로 나타났으며, 이직의도에 대한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49.5%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보건간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전문직 자아개념과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in college school nurses.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es who worked in college health offices and registered nationwid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December in 2016 to February in 2017. Th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3.0. Turnover intention of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Turnover inten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 (r=-.483, p<.001) and job satisfaction (r=-.683,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in school health nurse include professional self-concept (β=-.554 p=.007) and job satisfaction (β=-.926,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9.5% (F=36.332, p<.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to increas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job satisfaction for school health nurse as to lower their turnover intention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