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on Depression : Focusing on Latent Growth Modeling Analysi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0 No.6
-
2018.123227 - 3238 (12 pages)
-
DOI : 10.37727/jkdas.2018.20.6.3227
- 163
본 연구는 중장년층 이상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박탈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시간의 흐름에 따른 효과를 심층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우울과 사회경제적 박탈의 2개 요인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의 2013년(8차 조사)부터 2017년(12차 조사)까지의 5년간 자료에서 만40세 이상 7,4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우울 수준은 연도가 지날수록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선형적인 변화를 나타내었다. 박탈요인의 초기점수가 높을수록 우울의 초기값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탈요인의 초기값이 클수록 우울의 변화량도 함께 증가되어 박탈의 초기수준이 우울증가의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박탈요인의 변화량이 높을수록 우울의 변화량이 함께 증가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박탈을 많이 경험할수록 우울 수준도 높아진다는 사실과 박탈의 변화수준 또한 우울의 변화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가 갖는 함의는 우울을 예측하는 요소로서 중장년기의 사회경제적 박탈은 국가 정책적 차원에서 지원과 관심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이다.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trajectorie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on the depression trajectories among middle-aged individuals using a latent growth model over the last five years. Using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ranged from the year 2013 (8th wave) to the year 2017 (12th wave), a sample of 7,437 aged over 40 was selected. Three hypothesis was proposed as follows. Is the trajectory of depression changing over the years? Are the initial value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causally related to the initial values of depression? Are the rates of change in socio-economic deprivation causally related to the rates of change in depression? Results showed that the growth curve of depression tended to decline negatively over the five-year period. As the intial value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increased, so did the initial values of depression move upwards. Finally, as the changes of socio-economic deprivation tended to get larger, those changes of depression also accordingly increased as well. The public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to pay more attention to those middle-aged individuals suffering from socio-economic deprivations.
1. 서론
2. 문헌고찰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