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복마취간호사의 직무만족도 영향 요인
Impact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fessional Identity on Job Satisfaction of Post-anesthesia Care Unit Nurse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0 No.6
- : KCI등재
- 2018.12
- 3211 - 3225 (15 pages)
본 연구는 회복마취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조직문화 및 전문직 정체성, 직무만족도 정도를 확인하고 직무만족도에 영향 미치는 관련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149명의 회복마취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3.86±0.47, 조직문화는 3.19±0.34, 전문직 정체성 3.46±0.40, 직무만족도는 3.19±0.39였다. 직무만족도는 간호사의 소속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t=2.563, p=.011), 직무만족도는 직무스트레스 중 보수 및 대우(r=.373, p<.001), 조직문화 중 혁신지향 문화(r=.507, p<.001)와 관계지향 문화(r=.559, p<.001), 그리고 전문직 정체성(r=.544, p<.001)과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회복마취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문직 정체성(β=.391, p<.001), 관계지향 조직문화(β=.302, p<.001), 혁신지향 조직문화(β=.209, p=.004) 순이었고 세 변인이 설명하는 직무만족도의 총 설명변량은 48.7%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회복마취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전문직 정체성 향상과 관계 및 혁신지향 조직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라 사료되며, 전문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관계 및 혁신지향 조직문화 형성을 위한 전략 개발 및 운영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PACU (post-anesthesia care unit) nurses in the context of job stress, organizational culture and professional identity. A total of 149 nurses participated in the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su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Job stress in pay and treatment category, innovation-oriented culture, relation-oriented culture, and professional ident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r=.373, p<.001; r=.507, p<.001; r=.559, p<.001; r=.544, p<.001). The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were professional identity (β=.391, p<.001), relation oriented culture (β=.302, p<.001), innovation oriented culture (β=.209, p=.004), which accounted for 48.7% of the variance in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 ident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job satisfaction. Thus, in order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the PACU,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can improve professional identity and apply strategies for fostering relation and innovation oriented organization culture.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