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의 리더십 유형이 대학생들의 전공만족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rofessor Leadership Types on Major Satisfaction and Learning Immersio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0 No.6
- : KCI등재
- 2018.12
- 3127 - 3137 (11 pages)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수의 리더십 유형이 전공만족과 학습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7년 9월부터 11월까지 계열 전공학생 543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IBM SPSS Statistics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조사대상자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분석, 조사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정을 위한 요인분석, 요인 간의 차이 및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서 t-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전공만족에 대해서 성별과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공별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몰입은 전공별, 성별, 학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 유형이 전공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비전과 사명감, 개별적 고려, 상황적 보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외적 관리에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십 유형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비전과 사명감, 상황적 보상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별적 고려, 예외적 관리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has been focused on identifying the impact of professors types of leadership on major satisfaction, learning immersion in college students. To achieve this goal, the results of a survey of 543 affiliated students from september 2017 to november were as follows. Data processing has been done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5 program, and t-test and multi-return analysi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urvey tools, and to identify differences and influence between factor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grade, but by major, there was no difference. Second, learning immersion varies by major, gender and grade. Third, the factors that significantly influence a type of leadership s satisfaction with a major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vision and sense of duty, individual consideration, situational reward but were not significant in exceptional control by exception. Fourth, the impact of the types of leadership on learning immersion showed that vision and sense of duty, and situational reward, but individual consideration and exceptional control by exception were not significant.
1. 서론
2. 연구방법
3. 분석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