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학교 교장의 교사신뢰 형성을 위한 요구도 분석
Needs Analysis on Secondary School Principals for Building Trust in Teacher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0 No.6
-
2018.123155 - 3167 (13 pages)
-
DOI : 10.37727/jkdas.2018.20.6.3155
- 49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장이 인식하고 있는 교사신뢰 요인을 규명하고, 중등학교 교장의 교사신뢰 형성에 있어 어떤 요구들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장의 교사신뢰 측정도구를 개발한 선행연구의 설문 문항을 활용하여 중등학교 교장 총 2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로커스 포 포커스(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Borich의 요구도 공식을 활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사용하여 요구도를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이를 종합하여 최우선 순위 항목과 차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등학교 교장을 대상으로 한 요구도 조사에서 학급경영, 수업, 학생지도 범주의 항목들이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부모와의 동반자 관계 범주의 항목들이 차순위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중등학교 교장들이 학생과 학부모가 교육과 교장의 교사신뢰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 of principals trust in teachers which principals of secondary school recognized and to explore their needs on building trust in teac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survey question of which investigated conception of principals trust in teachers and performed with 296 secondary school principals. First, gap of two statuses was proven by t-test. Second, the order of priority was presented by Borich model. Third, the result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coordinate plane. Lastly, top priority and the second priority were determin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Class management, instruction, and caring for students category is highest in needs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on trust in teachers. Next, second priority category is partnership with parents . It means secondary school principals recognize that students and parents are most important on education and their trust in teachers. Based on the review, finding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