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69.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역문화자원으로서 유교문화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고찰

An Educational Consideration on the Revitalization of Confucian Culture as a Local Cultural Resource: at the Center of Hyanggyo and Seowon

DOI : 10.32611/jgcc.2019.11.41.99
  • 456

최근 지역문화의 독창성을 위한 콘텐츠 개발에 있어 문화자원을 활용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전략 중 하나다. 향교와 서원은 지역문화의 원형 자원으로서 활용도가 그 어느 것보다 높다. 그러나 향교와 서원은 전통적 가치관의 틀을 벗어나지 못하고 문화콘텐츠로 확장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유교활성화사업단을 통해 유교아카데미, 청소년인성교육, 향교·서원 문화관광프로그램, 청년유사제도 등을 운영하고 있지만, 지원사업의 일한으로 진행되어 자생적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많은 난관이 놓여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살아있는 역사를 담고 있는 9개의 서원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한국의 서원(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ies)’ 으로 등록되었다. 세계적으로 한국의 서원이 주목받고 있지만 향교와 서원의 문화관광프로그램에 20대의 참여율은 현저히 낮다. 뉴미디어시대에 유교문화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소셜미디어를 가장 잘 활용하는 20대의 참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 논문은 유교문화의 지역문화자원을 위해 20대가 가지고 있는 유교문화에 대한 교육적 실증분석을 토대로 유교문화 활성화를 위해 향교·서원 문화관광프로그램의 새로운 전환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One of the important strategies in developing content that gives originality to local culture is to utilize cultural resources. Hyanggyo and Seowon are the fundamental resources of local culture and their utilization is higher than anything else. However, Hyanggyo and Seowon have not been able to escape from the traditional values and expand into cultural content.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operates Confucian Academy, Youth Personality Education, Hyanggyo and Seowon Culture and Tourism Program through the Confucian Revitalization Project Group. However,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ettling down from a support project into a self-sustaining program. Nine Seowons, including Korea s living history, are listed as “Seowon, Korean Neo-Confucian Academy” in UNESCO s World Heritage. Although Korea s Seowon is drawing attention worldwide, the participation rate of those in their 20s in cultural and tourism programs in Hyanggyo and Seowon is significantly lower. The participation of those in their 20s who make the most use of social media to promote Confucian culture in the New Media era is of utmost importance than anything else. This paper is for the local cultural resources of Confucian culture, based on empirical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Confucian culture held by those in their 20s. And we are looking for a new turning point in the Hyanggo and Seowon Culture and Tourism Program in order to revitalize Confucian culture.

1. 머리말

2. 지역문화자원으로서의 유교문화

3. 유교문화의 문화관광 프로그램 운영 현황

4. 유교문화 활성화를 위한 교육적 고찰

5.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