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1769.jpg
KCI등재 학술저널

현대 트로트의 변화에 따른 수요층 증가요인 고찰

Study on Factors Related to the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 Groups Following Changes in Modern Trot Music

  • 1,105

본 연구는 현대 대중음악 트로트 장르에서 나타난 음악적·음악외적인 변화 및 수요층 증가요인에 관한 연구이다. 1930년대 신파성을 겸비한 ‘엘리트의 음악’에서 1980년대 댄스화의 가벼운 감성을 선택한 트로트는 2000년대 이후 ‘네오 트로트’, ‘EDM 트로트’ 등 다양한 장르의 리듬이 혼합된 ‘혼성화’ 양상을 보이며 이른바 ‘신(新) 트로트’를 만들어내고 있다. 현대의 트로트는 과거에 비해 선율, 화성, 창법, 가사 등의 음악적 변화와 가수의 연령층, 의상, 무대, 마케팅 전략 등의 음악 외적인 변화 모든 면에서 그 특징과 질감이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역사 속으로 사라질 트로트를 다시 한 번 대중음악산업의 주류장르로 이끄는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트로트를 소비하는 수요층 증가 요인을 종합해보면 트로트와 비(非)트로트 장르와의 혼성화 양상, 트로트 소재의 대중매체 미디어 노출, 젊은 층의 수요층 증가, 트로트를 활용한 심리치료기능 등이 연관되어 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 10대부터 30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현대 트로트에 대한 젊은 층의 인식> 설문조사 결과, 최근 트로트를 접한 사람은 85%이며, 트로트에 대한 긍정적 시각이 92.2%라는 점에서 트로트의 수요층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현재 트로트의 여러 변화 양상이 수요층 증가의 직접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입증할 수 있었다. 한국 대중음악사의 가장 긴 시간을 향유했던 트로트는 이제 기성세대에는 추억을, 젊은 세대에는 새로운 인식 기회를 제공하며 K-POP 열풍에 이바지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musical and non-musical changes that have appeared in relation to ‘trot’, one of modern popular music genres, and also assesses factors related to the increasing the number of comsumer groups. ‘Trot’ which was characterized by light emotions of dancing in the 1980s, instead of ‘elite music’, with the characteristic nature of ‘sinpa’ of the 1930s, has shown patterns of ‘hybridization’ combining rhythms of various genres such as ‘Neo-trot’ and ‘EDM trot’ after the 2000s to make the so-called ‘new trot.’ Regarding ‘trot’ of modern times, its characteristics and quality have been altering or adjusting in all aspects related to musical change, including melodies, harmony, vocalism and lyrics, and non-musical change, including age, clothes of singers, the stage and marketing strategy, compared with the past. However, one fact which shouldn’t be overlooked is that such change has become a driving force leading ‘trot’, that may disappear into history, to be a main genre of popular music industry once again. Considering factors regarding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groups of people consuming ‘trot,’ patterns of combination of the ‘trot’ and ‘non-trot’ genres, mass-media exposure of ‘trot’ materials, an increase in young consumer groups and the psychological therapy function of using ‘trot’ can be connected. A survey titled <Conception of the Younger Generation about ‘Trot’> was conducted among people aged from 10 to 39. According to the survey, about 85% of the respondents recently had access to ‘trot’ and 92.2% had positive opinions about ‘trot,’ indicating that an increasing number of people have enjoyed ‘trot’ songs. Such a situation demonstrates that various patterns of change in relation to modern ‘trot’ were working as direct factors for an increase in consumers. Trot, which enjoyed the longest period of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now contributes to the K-POP craze by providing memories for the older generation and new recognition opportunities for the younger generation.

1. 머리말

2. 현대 트로트의 변화에 관한 고찰

3. 현대 트로트의 흥행요인 분석

4. 맺음말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