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간호사의 피로와 지각된 건강상태가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urses Fatigu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DOI : 10.37727/jkdas.2018.20.5.2665
  • 190

본 연구는 간호사의 피로와 지각된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는 B시에 소재한 5개의 병원에 재직 중인 간호사 135명을 대상으로 2018년 6월 1일부터 6월 15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으로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는 운동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피로는 7점 만점에 4.50점, 지각된 건강상태는 5점 만점에 2.76점, 건강증진행위는 4점 만점에 2.09점이었다. 지각된 건강상태와 건강증진행위(r=.408, p<.001)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피로와 건강증진행위(r=-.301, p<.001) 및 피로와 지각된 건강상태(r=-.416, p<.001)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요인은 지각된 건강상태(β=.355, p<.001)와 운동유무(β=-.328,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건강상태의 올바른 지각과 운동 실천을 위한 전략적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to identify a nurse s fatigue,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heir impact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June 1 to June 15, 2018 for 135 nurses working in five hospitals in the city of B.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with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the nurs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ercise status. Nurses fatigue was 4.50 point out of seven point,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2.76 out of fiv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2.09 out of fou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r=.408, p<.001) has a static correlation, fatigu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r=-.301, p<.001) and fatigue and perceived health status (r=-.416, p<.001) were negatively correlated. A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 is the perceived health status (β=.355, p<.001) and exercise status (β=-.328, p<.001).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nurse health promoting behavior, strategic programs are needed for correct perception of health and exercis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