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 주식시장과 세계 주요 주식시장간의 동조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ovement between the Chinese Stock Market and the Major Stock Markets in the World

DOI : 10.37727/jkdas.2018.20.5.2397
  • 92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주식시장과 세계 주요 주식시장간의 동조화를 실증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중국과 7개 주식시장의 대표적인 주가지수의 2000년부터 2017년까지의 주별 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여 소파동 코히어런스(wavelet coherence) 및 위상(phase)을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주식시장과 홍콩 주식시장 사이에서 동조화가 가장 강하게 나타난다. 이 두 시장 사이에서는 동조화가 광범위한 시간-축적 영역에서 나타난다. 둘째, 중국 주식시장과 미국 주식시장은 장기에서 동조화가 강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에서는 미국 주식시장이 중국 주식시장을 강하게 선도하고 있다. 일본, 유럽, 호주주식시장은 비슷한 패턴을 보이고 있는데, 중국 주식시장과 일본(유럽, 호주) 주식시장의 동조화는 장기에서 강하게 나타난다. 셋째, 한국과 대만 주식시장은 연속적이지는 않지만 중기에 미약하게 동조화되어 있고, 장기에서는 동조화가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중국과 홍콩, 일본, 한국 주식시장의 동조화 정도가 단기에서보다 중기에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향후 투자자들은 자산분산투자와 시간분산투자를 동시에 실현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사이의 균형을 맞추어 투자전략을 세워야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co-movement between the Chinese stock market and the world s major stock market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wavelet coherence and phase difference using the weekly returns of representative indexes around the China and seven stock markets from 2000 to 2017.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ovement between the Chinese stock market and Hong Kong stock market is strongest which is expressed in a wide range by the specific time and time scale. Second, the Chinese stock market and the US stock market are becoming more coherent on the longer time scale where the US stock market is leading the Chinese stock market. The strong co-movement of the Chinese stock market and the Japanese (European and Australian) stock markets appear on a longer time scale. Third, the Korean and Taiwanese stock markets can be seen to be weakly coherence in the middle time scale, and the longer time scale strengthens the coherence. Fourth,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the short time scale of Chinese, Hong Kong, Japanese, and Korean co-movement has increased.

1. 서론

2. 소파동 이론과 방법

3. 표본자료 및 상관계수

4. 실증분석 결과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