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여성건강 관련 특성이 골밀도 이상에 미치는 영향요인

제5기 2010년 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 25

본 연구는 여성건강 관련 특성이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 규모로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 1차년도(2010), 2차년도(2011) 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층화집락표본추출방법으로 표집 된 4,843명의 여성 중 폐경여성 1,62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통계방법은 복합표본분석(complex sampling analysis) 로지스틱회귀분석(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골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나이가 증가할수록(OR=1.12, p<.001) 교육수준이 낮을수록(OR=3.15, p=.002) 골밀도 이상증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생활습관 특성으로는 중등도 신체활동을 전혀 하지 않는 사람(OR=1.82, p=.023)과 1-3일/주 하는 사람(OR=1.16, p=.019)이 골밀도가 발생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음주횟수는 1달에 1회 이하인 그룹이 주 2회 이상 음주그룹(OR=0.86, p=.034) 보다 골밀도가 발생 할 확률이 높았다. 여성건강관련 특성으로는 규칙적으로 월경을 했든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OR=1.23, p=.016), 자연유산횟수가 증가할수록 높았다(OR=1.22, p=.013).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전적 요인은 교정이 불가능하나 생활양식을 변화시키고 조절 가능한 요인들을 관리하면 골밀도를 정상 상태로 유지하여 골밀도 이상증상 발생 및 골절의 위험을 감소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5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10) and 2nd (2011), which were conducted on a nationwide study to identify the causes of osteoporosis and their effects on the female health as well as identifying their characteristics. A study was conducted on 1,623 menopaused women out of 4,843 women who were examined and tested using the stratified rock sampling method. The statistical method was performed with a complex sampling analysis and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test resulted in a general increase on abnormal bone density which was common to older women and those with low education level. As a result of lifestyle characteristics, abnormal bone density was greater on those in the aspect of lifestyle characteristics, bone density was higher in people with moderate physical activity (5-7 times / week) than people with no physical activity or lower activity (1-3 times / week). Also, drinking group less than once a month was higher in bone density than high risk drinking group more than twice a week (OR=0.86, p=.034).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genetic factors can not be corrected, but changes in lifestyle and controllable factors can maintain bone density in normal state and reduce the risk of abnormal bone density and fracture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