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전통시장의 관광 매력성이 방문객 만족과 전통시장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Attractiveness of Traditional Market and Satisfaction and Image of Visitors’

DOI : 10.37727/jkdas.2018.20.2.897
  • 117

본 연구는 강원지역 전통시장 방문객의 관광 매력성 요인 도출과 그 매력성 요인들이 방문객 만족과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자는 강원지역 정선, 강릉, 평창 전통시장을 찾은 방문객 4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관광 매력성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체험성, 신기성, 고유성, 편의성, 접근성, 정감·쾌락성의 6개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관광 매력성이 방문객 만족과 전통시장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가설 12개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 1-6까지의 검정결과 접근성은 t값이 2.296으로 채택되었다. 정감·쾌락성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3.190으로 가설 6은 채택되었다. 그러나 가설 1인 체험성은 t값이 1.067(p=.287)로 나타나 기각되었고, 가설 2인 신기성은 t값이 -.217, 가설 3인 고유성은 t값이 1.278, 가설 4인 편의성은 t값이 1.006으로 나타나 가설은 기각되었다. 가설 7-12까지의 검정결과, 가설 9인 고유성은 t값이 2.686으로 채택되었다. 가설 12인 정감·쾌락성에 미치는 영향은 t값이 3.607로 채택되었다. 그러나 체험성은 t값이 -.195(p=.846)로 나타나 가설 7은 기각되었고, 신기성은 t값이 -.369, 편의성은 t값이 1.440, 접근성은 t값이 -.715로 나타나 가설 8, 가설 10, 가설 11은 각각 기각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fine tourism attractiveness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tourism attractiveness and visitors’s satisfaction and image of traditional market. Jungsun, Gangneung, and Pyeongchang traditional market were selected as research target. Through the factor analysis, 6 factors were drew: feeling of warmth·enjoyment, experienceablity, uniqueness, accessibility, novelty, and convenience. To examine the impact of tourism attractiveness on satisfaction and image of visitors’, multi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nd 12 hypotheses were applied. In satisfaction hypotheses, accessibility and feeling of warmth·enjoyment with 2.296 and 3.190 of t value were accepted. In image hypotheses, uniqueness and feeling of warmth·enjoyment with 2.686 and 3.607 of t value were accepted.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실증 분석

5.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