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성공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DEU GRIT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Feasibility Study of DEU GRIT Scale for Successful College Life Adaptation: Focused on the College Freshmen

  • 337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을 대상으로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수준을 살펴볼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집단을 구별할 수 있는 규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진로적응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에 가장 적합한 문항들을 새롭게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전문가들을 통해 내용타당도를 살펴보았으며,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해 최종 문항 및 각 영역의 하위 요인구조를 살펴보았다. 또한 기존의 대학적응력 검사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살펴보았으며, 적응-부적응 집단을 구별하는 규준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60개의 최종 문항이 도출되었으며, 각 영역별로 학업적응이 2개(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 탄력성), 사회적응이 3개(사회적 자기효능감, 학교 내 대인관계 유능감, 가족관계 유능감), 개인정서적응이 3개(자아존중감, 정서조절능력, 정서안정성), 진로적응이 3개(진로정체감, 진로자신감, 진로활동)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위험군, 잠재위험군, 적응군, 성공역량군으로 구별되는 규준이 적절하게 도출되었다. 이에 본 척도가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수준을 쉽게 이해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a scale for college freshmen to review their level of college life adaptation, and then selected a group that had difficulties adapting to college life. For this purpose, new questions that are best suited to each adaptation area (academic, social, personal emotional, and career) were developed. In this process, the content validity was reviewed by experts, the final questions and the sub-factor structure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preliminary and main surveys. In addition, the concurrent validity examined with the existing college students’ adaptability test, and the standards that distinguish adaptive and maladaptive groups were derived. As a result, 60 final scale questions and sub-factors were constructed for each adaptation area: academic (self-efficacy and resilience), social (self-efficacy, interpersonal competence in school, and competence of family relationships), personal emotional (self-esteem, emotional control and stability), and career (identity, confidence, and activities). The standards that distinguish into risk-, potential risk-, adaptive-, and success-group were derived. It would be used to help college students understand their college adaptation level.

1. 서론

2. 이론적 배경 : 대학생활적응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