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 이직의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Participating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DOI : 10.37727/jkdas.2018.20.2.1063
  • 312

본 연구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이직의도를 낮추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부산시 소재 7개 중소병원과 2개의 3차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94명으로, 자료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7년 7월 3일부터 31일까지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하여 t-test, 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22±0.61점이었다. 이직의도는 근무형태, 업무부하, 급여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심리적 자본과 직무배태성은 이직의도와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면, 직무배태성(β=-.534, p<.001), 급여수준(β=.199, p=.008), 업무부하(β=.146, p=.019) 순으로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의 이직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24.1%로 나타났다. 즉, 직무배태성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고, 업무부하가 있을수록, 급여수준이 낮을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간병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사의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을 고려하여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직무배태성을 개발하고, 업무부하를 낮추고 급여수준을 높이는 다각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본다.

The pro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participating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This study further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n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194 nurses who worked at 7 small-medium sized hospital and 2 tertiary general hospitals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units located in Busan. We surveyed with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form July 3 to 31, 2017.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via SPSS/WIN 23.0 program.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characteristics were as follows: job embeddedness (β=-.534, p<.001), pay (β=.199, p=.008), and work load (β=.146, p=.019). The explanatory power was 24.1%. In order to decrease the level of turnover intention of nurses participating in integrated nursing care service, various efforts are needed,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designed to enhance job embeddedness, pay and reduce work load.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