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School Life Adjustment of Freshmen in Nursing Department

DOI : 10.37727/jkdas.2018.20.2.1077
  • 86

본 연구는 간호대학 신입생의 감사 성향, 주관적 행복감, 학교생활 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적응에 도움을 주고자 시도하였다. D 광역시와 G 광역시에 위치한 2개 대학의 간호학과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12월 1일부터 12월 15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프로그램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는 전공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교 생활적응은 감사성향(r=.428, p<.001)과 주관적 행복감(r=.538,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행복감(β=.354, p<.001), 전공 만족도(β=.314, p<.001)와 감사성향(β=.192, p=.004)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이들 변인의 설명력은 44.3%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주관적 행복감과 감사성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school life adjustment in freshmen nursing depar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nursing students in two different universities in D and G metropolitan city.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December 1 to December 8, 2017. Th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Scheffe test,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WIN 21.0.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according to satisfaction in major. School life adjust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ratitude (r=.428, p<.001) and subjective happiness (r=.538, p<.001). The factors affecting school life adjustment were the needs for subjective happiness (β=.354, p<.001), satisfaction in major (β=.314, p<.001) and gratitude (β=.192, p=.004) explaining 44.3% of the total variance of school life adjustment. Therefore, to increase school life adjustment in student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 promoting subjective happiness and gratitud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