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투자와 고용성장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차이를 중심으로
- 정이기(Lee-Key Chung) 홍재범(Jae-Bum Hong)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0 No.3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8.06
- 1293 - 1302 (10 pages)
본 연구는 기업의 투자와 고용간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투자라는 기업의 의사결정과 행동을 기업의 고용성장을 이끄는 동인으로 규정하고, 이러한 투자가 기업의 일자리창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2008년에서 2015년까지 8년간에 걸친 기업별·연도별 자료를 활용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종속변수로 고용성장률을 설정하여 연평균상시근로자수의 자연로그 값 차분으로 측정하였다. 독립변수인 투자는 기술투자, 인적투자, 자본투자로 구분하여 정의하고 재무정보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고용성장률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제시된 변수들을 통제변수로 적용하였다. 고용성장률의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분위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기업규모를 중소기업과 대기업으로 구분하고 분석하여 중소기업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기술과 인적투자는 고용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상위 분위로 갈수록 영향력이 커지지만 자본투자는 고용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업의 기술투자와 인적투자가 자본투자 보다 고용에 더 효과적이다. 중소기업의 기술투자는 전 분위에 걸쳐 고용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대기업은 중간이상 분위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이는 중소기업의 기술투자가 대기업보다 고용성장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investment and employment. For this analysis, we hypothesized and tested that investment would have a positive or negative impact on job creation. The employment growth rate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s were defined as three investment variables (R&D, human, facility) and measured using financial information.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ployment growth rate, we conducted a quanti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on SMEs, we have divided as the SMEs and the large. As a result, technology and human investment have had a positive impact, but capital investment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employment growth. By analyzing, in SMEs technology investment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growth in all quantiles, and large firms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middle and above quantiles. This result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that SMEs technology investment is more effective for employment growth than large corporations.
1. 서론
2. 연구방법
3. 분석결과
4.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