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규제책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Regulations on Housing Loan: Evidence from Korean Bank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20 No.3
- : KCI등재
- 2018.06
- 1333 - 1343 (11 pages)
본 연구는 가계대출 억제 및 기업대출의 증대를 유도하기 위해 국내에서 시행이 예정된 금융규제의 정책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은행들을 대상으로 금융감독당국에서 계획중인 위험가중치 조정, 예대비율산정방식 변경, 경기대응완충자본의 신설 시행을 가정하여, 해당 효과를 정책 전후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계대출의 위험가중치 증가가 이루어질 경우 가계대출감소가 기업대출의 증가로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위험가중자산의 증가는 은행의 위험회피성향을 높여, 중소기업대출을 축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대비율 산정시 가계대출 및 기업대출의 가중치 조정이 시행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가계대출의 감소가 중소기업대출증가로 이어지지 않았다. 즉, 예대비율의 산정과정에서의 가중치의 차별적 조정이 당초 기대한 정책효과로서 중소기업대출을 유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셋째, 경기대응완충자본의 신설은 은행으로 하여금 자본확충을 유도함으로써, 위험대출자산인 중소기업대출의 증가를 유도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경기대응완충자본제도외의 정책의 경우 한계점이 존재하는 바 이에 대한 신중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new financial regulations to be announced on the change of loan. Current study examines how new financial regulations based on adjustment of risk weight on loan asset and change of calculation for loan to deposit ratio including introduction of countercyclical capital buffer affects loan portfolio by comparing after enforcing new regulation with before on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of risk weight on household loan can not result in increasing enterprise loan by reducing household loan. Through this evidence, it is implied that the increase of risk weighted asset leads to raising risk evasiveness of banks, and results in curtailing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SME) loan. Second, the adjustments of weights of household and enterprise loan in estimating loan to deposit ratio also cannot leads to increasing SME loan through reducing household loan. The adjustments of weights of household and enterprise loan have limitation to make SME loan not expanded as it is expected. Third, countercyclical capital buffer makes bank increased additional capital, resulting increasing SME loan. As a concluding remark, careful reconsideration except for introduction of countercyclical capital buffer is required because of its limitation on policy effectiveness unlike countercyclical capital buffer.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데이터 및 분석모형
4. 실증분석 결과
5. 결론
References